한파…눈폭탄…집중호우…
한반도 기상이변 다반사
10년간 1조7000억원 피해
구체적 대응매뉴얼 시급
동해안 지역에 쏟아진 100년 만의 ‘눈폭탄’, 기상관측 이래 104년 만의 혹독한 한파… 앞서 지난해 3~4월의 이상저온 현상, 6~8월의 폭염과 열대야, 가을에 쏟아진 시간당 100mm 안팎의 집중호우…. 기상이변이라고 불려야 마땅할 이 같은 이상기후가 이제 이변이 아니라 일상사가 되다시피 했다.
이로 인한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인명피해 72명, 재산피해액이 1조7000억원에 달한다는 것이 소방방재청의 추산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재해 방재 시스템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지난 11일 고립사태가 벌어진 7번 국도 삼척구간의 경우 통행제한시각은 11일 밤 11시30분으로 이미 적설량이 45cm를 넘어선 상태였다. 국토해양부가 겨울철 제설대책기간 중 교통이 취약한 진부령 등 153개 구간에 제설장비와 인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발표했었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이유는 구체적인 대응 매뉴얼이 없기 때문이다. 눈의 왕국인 캐나다의 경우 도로별 우선순위를 정해 제설작업을 벌이고 도로의 기능과 교통량 중요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눠 각각 제설작업의 기준과 눈을 치우는 데 걸리는 시간, 제설 적용수준 등을 정해놓고 3시간 안에 도로에서 모든 눈을 치우고 있다. 시카고, 뉴욕 등 미국 중동부나 모스크바, 삿포로 등도 일단 눈 예보가 있으면 제설차량을 배치하는 선제대응을 한다. 우리도 선제대응이 가능하도록 폭설 매뉴얼을 재정비해야 한다.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기상이변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닌 전 지구적 문제로서 핵심 원인은 지구 온난화다. 기상관측 이래 지구가 가장 더운 해였던 지난해 일본은 이상폭염으로 열사병 사망자가 500명을 넘었고, 러시아에서는 1만5000명이 사망했다. 지구 평균기온은 지난 1만년 동안 1도 이상 변한 적이 없었지만 최근 100년간 0.74도나 올랐다. 1990년 이후 지난 20년간, 기상재해로 65만명이 사망하고 2400조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역설적이게도 올겨울 이상한파도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극지역의 이상고온 현상으로 차가운 공기를 머금은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강추위를 몰고왔다.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제로베이스에서 기상이변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만들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정부는 차제에 기상이변으로 인한 홍수와 폭우, 가뭄, 폭설 등이 빈번해지는 만큼, 기상이변과 관련해 어떤 경우든 대처할 수 있도록 맞춤형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온난화를 부추기는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근본적인 대응에도 나서야 할 것이다. 기상이변을 몰고오는 온난화는 지금까지 환경을 등한시했기 때문에 초래된 측면이 크다. 정부는 온실가스를 2020년 배출 전망치 대비 30% 감축한다는 목표를 국제사회에 공언하면서 한발 앞서가고 있다. 이처럼 정부 차원의 큰 대책도 중요하지만 우리 모두가 전열기 사용 자제 등 에너지 절약과 종이컵 사용 줄이기 등 생활 속 작은 실천을 하는 것도 기후변화 극복과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업들도 이제 녹색경영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녹생성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