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명품왕국의 아르노 회장... 방한때마다 갤러리 방문...‘아트=비즈니스’란 인식... 창조적 기업가의 필수덕목
루이비통, 디올, 펜디 등 60여개의 럭셔리 브랜드를 휘하에 두고 있는 ‘명품왕국의 제왕’ 베르나르 아르노(62) LVMH그룹 회장의 일정은 빡빡하기로 유명하다.
지난해 글로벌 명품시장에서 매출 203억유로(약 31조원), 영업이익 43억유로(6조6000억원)를 거두며 승승장구 중인 그는 워낙 많은 브랜드를 챙겨야 하는 만큼 분 단위로 시간을 쪼개 쓴다.
지난해에도 그는 루이비통의 인천공항 입점 등을 확정 짓기 위해 4, 11월 두 차례 한국을 찾았다. 그런 그가 1박2일의 숨가쁜 일정에도 반드시 찾는 곳이 있다. 바로 강남의 화랑가다. 아르노 회장은 신동빈 롯데 회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과의 면담 중간중간에 갤러리 방문 일정을 집어넣었다. 더구나 갤러리에는 30분 먼저 도착해 30분 늦게 떠날 정도로 ‘새로운 작품과의 조우’를 한껏 즐겼다.
다양한 문화권의 혁신적 예술에서 ‘동시대 감성’을 읽으며 비즈니스의 영감을 얻기 때문이다. 소문난 컬렉터답게 작품도 속속 구입했다. 서도호, 이불, 김혜련 등 한국 미술가의 이름도 줄줄 꿰고 있다.
더구나 루이비통은 일본 유명작가 무라카미 다카시(49)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협업)으로 엄청난 수익을 거둬 숨어 있는 ‘제2, 제3의 무라카미’를 찾기 위해서도 ‘갤러리 순례’는 잦아질 수밖에 없다.
아르노 회장은 그동안 야심차게 추진해온 ‘루이비통 창조재단 미술관’을 오는 2013년 파리 볼로뉴숲에 오픈한다.
이처럼 ‘비즈니스와 아트’를 거의 동일선상에 놓고 있는 글로벌 기업인은 한둘이 아니다.
아르노와 라이벌인 PPR그룹의 프랑수아 피노(74) 회장은 한술 더 뜬다. 구치, 발렌시아가, 이브생로랑 등을 휘하에 두고 있으며, 미술품경매사 크리스티까지 운영 중인 피노 회장은 아트 비즈니스에 가히 열정적이다. ‘미술계 슈퍼파워’인 그는 중국, 일본에 이어 한국 작가(이우환 등) 작품도 수집 중이다. 그뿐인가. 세계적 광고전문가이자 컬렉터인 영국의 찰스 사치는 스스로를 ‘아트홀릭’이라고 칭하며 ‘현대미술 순례’에 영일이 없다.
이 밖에도 수많은 일류기업들이 ‘예술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유니레버, 도이체방크, 블룸버그 등은 가장 돋보이는 사례다.
물론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이익을 따진다면 아트와의 협업에 나서기는 힘들다.
그러나 기술력이 거의 평준화되는 이 무한경쟁시대에, 앞으로 유망한 것은 ‘창조산업’이다. 근래 들어 창조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영국의 경우 전체 GDP 중 무려 29%가 DCMS, 즉 예술과 미디어, 스포츠에서 나오고 있을 정도다. 바야흐로 ‘아트 앤 비즈니스(Art & Business)’시대인 것이다.
그러니 기업과 문화예술은 한 배를 탄 처지가 됐다. 예술은 더 이상 기업의 이름을 근사하게 포장해주는 액세서리가 아닌 것이다. 아트마케팅을 위한 수단도 넘어섰다. 이제는 생존을 위한 ‘필수덕목’이다. 지속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선 아트와 함께 가지 않고선 곤란한 시대가 온 것이다.
그러니 우리도 ‘세계 최초의 루이비통 공항면세점 확보’에 만족해선 안 된다. 무형의 것, 더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창조산업’에 눈을 돌려야 할 때다. 문화예술은 ‘예술적 가치’ 이상의 ‘신자본(new capital)’이 되고 있으니 말이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