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생활/문화
연예
스포츠
오피니언
지역뉴스
대구&경북
|
울산&경남
Special Section
D;Con
헤럴드 밀리터리
●
실시간 뉴스
포토
구독신청
뉴스레터
증권방송
칼럼
[CEO 칼럼-이영진 이웰에셋 대표]요즘 경매시장이 과열인 4가지 이유
얼마전 감정가 1억7000만원인 서울 노원구 상계동 A아파트는 최근 1억6415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2회나 유찰돼 감정가의 64%인 1억1392만원부터 입찰할 수 있었는데, 응찰자가 몰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92%로 뛰었다.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소재 2300㎡ 대지는 감정가 약 5억원으로 역시 2회나 유찰돼 2...
2018.02.12 11:32
[프리즘]강남 만들기
서울 강북도 강남처럼 만들어주겠다는 게 서울 뉴타운사업의 구호였다. 90년대 중후반까지 별 차이가 없던 서울 강북과 강남의 집값이 2000년대 들어 격차를 보이자 이를 다잡기 위해 나온 조치였다. 한때 서울 뉴타운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다. 차가 다니기 힘든 좁은 골목, 전기줄이 흉하게 방치된 전신주, 냄...
2017.08.03 11:13
[프리즘] 2016년 부동산, 말말말…
가는 해를 돌아보면 부동산 시장에는 출렁거림이 좀 있었다. 주로 재건축 아파트의 등락폭이 심했다. 주식 등 다른 투자처 보다 안정적이며 꾸준한 수익창출이 가능하던 부동산에 규제 리스크가 불거진 한해였다. 시장에선 정책입안자의 말들에 유난히 신경을 곤두세웠다. 뇌리에 스치는 말들을 되새김 해보니 지난 1월 박...
2016.12.29 11:29
[프리즘] 해외부동산 투자관리 누가 하나
해외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2개월 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복합시설 분양 설명회에 가보니 은퇴자부터 30대 미시족까지 개인 자산가들이 자리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베트남, 미얀마 등지의 건설부동산 현장을 시찰하는 교육 프로그램에는 신청자가 조기 마감되곤 한다. 기업, 기관뿐 아니라 개인까지 해...
2016.10.12 11:41
[쉼표] 승부차기
‘골키퍼 있다고 골 안 들어가냐.’ 누구든 한 번은 들어봤을 연애 조언이다. 사랑에 쭈뼛대는 이에게 용기를 북돋워주려는 말이다. 치밀한 전략이나 내재된 능력은 사실상 없다. 종국엔 이성(異性)을 제외하고 조언의 공급ㆍ소비자끼리 실패의 추억을 곱씹기 일쑤다. 단 11분 안에 이렇게 골키퍼 운운하는 치기(稚氣)는 ...
2016.07.04 11:10
[데스크 칼럼-김필수] “그냥 아무나(anybodies)가 아니다”
“그냥 아무나(anybodies)가 아니다” “이제 그만하세요” 시사 이슈에 귀를 열어둔 독자들은 익히 들었을 두 마디다. 앞 부분의 단어를 생략했다. 정치권에 이 두 마디를 들려주기 위해서다. # “국민은 그냥 아무나(anybodies)가 아니다” =요즘 정치권은 동네북이다. 의무에는 소홀� 요즘 정치권은 동네북이다. 의...
2016.03.15 11:01
[프리즘] 수색역에서
서울 서북의 끄트머리 수색역 삼거리 부근에는 대중목욕탕 2곳이 왕복2차선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겨우 100m 떨어진 거리에 오래된 ‘OO탕’ ‘OO사우나’ 입구가 서로를 향해 있으니 별스럽다. 주민 설명을 들으면 이해된다. 수색(水色)에는 지금은 문닫은 삼표연탄 공장과 무연탄 화물열차의 종착역이 있었...
2016.03.15 11:01
[프리즘]‘사랑으로’가 어때서… -한지숙 소비자경제부 차장
“우리가 올라가마.” 명절이 다가오면서 역귀성 부모의 상경 소식에 괜히 마음이 들뜰 집들도 많을 것 같다. 그런데 “아들이 장만했다는 새 아파트 이름이 뭐더라…”고 할 어머니도 적지 않을 것이다. 아파트 이름은 시골에 사는 시어머니가 찾아오지 못하게 어렵게 짓다는 우스개 소리가 여전히 통한다. 그래서 시어머...
2016.01.26 11:00
[프리즘] ‘사랑으로’가 어때서…
[헤럴드경제] “우리가 올라가마.” 명절이 다가오면서 역귀성 부모의 상경 소식에 괜히 마음이 들뜰 집들도 많을 것 같다. 그런데 “아들이 장만했다는 새 아파트 이름이 뭐더라…” 할 어머니도 적지 않을 것이다. 아파트 이름은 시골에 사는 시어머니가 찾아오지 못하게 어렵게 짓다는 우스개 소리가 여전히 통한다. 그...
2016.01.26 08:20
가스실(gas chamber)
시계(視界)가 뿌옇다. 사포로 문댄 안경을 쓴 것처럼 눈 앞이 꺼림칙하다. 이번 겨울 들어 대기오염이 특히 더 심해진 듯하다. 독일 나치 정권 때 인종청소를 위해 쓰인 ‘가스실’이 21세기에 되살아났다. 극단적 표현 같지만, 인도 대법원은 최근 ‘가스실에서 살고 있다’라는 문장을 판결문에 적시했다. 인도는 세계보...
2016.01.18 12:04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정보
연재 기사
[김수한의 리썰웨펀]러시아製 S-400이 뭐길래…배치되자 미-터키 갈등, 러-일 분쟁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국의 대공요격체계와 기반이 같은 러시아 최첨단 요격체계 S-400(트리움프)로 인해 미국과 터키, 일본과 러시아 등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러시아가 첨단 지대공 미사일 S-400을 일본과 인접한 사할린주(州)에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은 24일(현지시간) S-400 트라이엄프 미사일 부대가 사할린주에...
김수한의 리썰웨펀
[홍길용의 화식열전] 은성수의 ‘가도멸괵’…이주열의 ‘인열폐식’
춘추시대 진(晉)나라 헌공(獻公)은 우(虞)나라를 공격하기에 앞서 두 나라 사이에 있는 괵(虢)나라에 길을 빌려 달라고 청한다. 괵나라는 길을 빌려주지만 우나라를 점령한 진나라 군대는 돌아가는 길에 방심하던 괵나라까지 삼켜버린다. ‘가도멸괵(假途滅虢)’의 고사다. ‘목이 멜까’ 두려워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의 얘기가 회남자(淮南子)에 나온다. 한...
홍길용의 화식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