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후폭풍, 매몰지 관리 등 대비를
구제역이 끝나지 않았는데 벌써 후폭풍이 거세다. 발생 두 달이 지나면서 320만 마리의 소와 돼지를 살처분, 우리 축산업은 존폐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경제적 피해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 이미 2조원이 넘는 비용을 투입했지만 앞으로 얼마가 더 들어갈지 짐작조차 가지 않는다. 국민 생활 곳곳에 미치는 파장도 엄청나다. 정육 수급 차질로 돼지고기 값이 천정부지이고, 젖소가 줄자 우유 공급이 달려 신학기 학교 급식 차질까지 불가피해졌다. 관련 물가도 비상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사상 최대 규모의 가축 매몰에 따른 2차 피해 우려다. 살처분 소와 돼지는 많은데 묻을 장소가 마땅치 않다 보니 매몰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아 해빙기 붕괴 유실 등이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하천변이나 산비탈, 계곡 등 매몰 부적합지에 묻은 경우가 부지기수다. 경상북도만 해도 매몰지 750곳 가운데 90곳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중 45곳은 곧바로 손을 보지 않으면 흙더미가 쓸려내리거나, 가축 사체의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경기도의 경우 매몰지의 40%가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다지만 구제역이 발생한 다른 지역 사정도 별반 다를 게 없다. 게다가 조류 인플루엔자(AI)까지 가세해 가축 매몰지는 더 늘어날 판이다.
구제역 등에 감염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가 흘러나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면 탄저병 같은 전염병이 번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이 “지금껏 보지도 겪지도 못한 환경 대재앙이 될 수 있다”고 한 경고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이미 일부 매몰 지역에선 핏물 섞인 침출수가 흘러나오고 악취 진동 등 2차 피해 전조가 나타나고 있다.
다음달 말까지 4100여 전국 가축 사체 매몰지 실태를 전수 조사하겠다는 정부 방침은 당연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신속한 후속 조치다. 규정대로 가축 사체를 묻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문제 발생 소지가 있는 곳은 지체 없이 차수벽을 새로 쌓고 성토를 다시 하는 등 완벽히 보강해야 한다. 곧 봄이 오는데 언 땅에 어설프게 묻은 가축 사체들의 오염 피해를 만만히 보아선 안 된다. 문제가 터지기 전에 손보는 것은 구제역 방제 못지않은 시급한 현안이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아끼지 말아야 한다. 후속 조치 소홀로 또다시 수십, 수백 배의 대가를 치를 수는 없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