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칼럼>기상이변 대응책 서둘러라
김대우 사회부 차장

동해안 지역에 쏟아진 100년만의 ‘눈폭탄’, 기상관측이래 104년만의 혹독한 한파..앞서 지난해 3~4월의 이상 저온현상, 6~8월의 폭염과 열대야, 가을에 쏟아진 시간당 100mm 안팎의 집중호우...기상이변이라고 불려야 마땅할 이같은 이상기후가 이제 이변이 아니라 일상사가 되다시피 했다.

이로 인한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인명피해 72명, 재산피해액이 1조7000억원에 달한다는 것이 소방방재청의 추산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재해 방재시스템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 걸음마수준이다. 지난 11일 고립사태가 벌어진 7번 국도 삼척구간의 경우 통행제한시각은 11일 밤 11시 30분으로 이미 적설량이 45cm 넘어선 상태였다. 국토해양부가 겨울철 제설 대책기간 중 교통이 취약한 진부령 등 153개 구간에 제설정비와 인력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발표했었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이유는 구체적인 대응매뉴얼이 없기 때문이다. 눈의 왕국인 캐나다의 경우 도로별 우선순위를 정해 제설작업을 벌이고 도로의 기능과 교통량 중요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눠 각각 제설작업의 기준과 눈을 치우는데 걸리는 시간, 제설 적용수준 등을 정해놓고 3시간 안에 도로에서 모든 눈을 치우고 있다. 시카노 뉴욕 등 미국 중동부나 모스크바, 삿포로 등도 일단 눈 예보가 있으면 제설차량이 배치하는 선제대응을 한다. 우리도 선제대응이 가능하도록 폭설 매뉴얼을 재정비해야 한다.

태풍과 호우, 해일 등으로 인한 침수흔적을 조사해 표시한 침수흔적도와 이를 바탕으로 재해발생 시 대피요령과 대피소 대피경로 등의 정보를 표시한 재해지도도 제대로 보급되지 않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절반 가까이 되는 117곳에는 아예 재해지도가 없다. 우리나라는 지난 9년 동안 자연재해 복구비로 27조원을 쏟아부었는데 반해 재해 위험지구 정비 등 예방사업에는 5조 5000여억원을 쓰는 데 그쳤다. 더이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이 아니라 예방적 방재대책에 나서야 할 때다.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기상 이변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닌 전 지구적 문제로 핵심원인은 지구 온난화 때문이다. 기상관측 이래 지구가 가장 더운해였던 지난해 일본은 이상 폭염으로 열사병 사망자가 500명이 넘었고 러시아에서는 1만5000명이 사망했다. 지구 평균 기온은 지난 만 년 동안 1도 이상 변한 적이 없었지만 최근 100년간 0.74도나 올랐다. 1990년 이후 지난 20년간, 기상재해로 65만 명이 사망하고 2400조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역설적이게도 올 겨울 이상 한파도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극지역의 이상고온 현상으로 차가운 공기를 머금은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강추위를 몰고왔다.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제로베이스에서 기상이변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만들 것을 주문했다고 한다. 정부 는 차제에 기상이변으로 인한 홍수와 폭우, 가뭄, 폭설 등이 빈번해지는 만큼, 기상이변과 관련해 어떤 경우든 대처할 수 있도록 맞춤형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온난화를 부추기는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근본적인 대응에도 나서야 할 것이다. 기상이변의 주범으로 꼽히는 온난화는 지금까지 환경을 등한시 했기 때문에 초래된 측면이 크다. 정부는 온실가스를 2020년 배출 전망치 대비 30% 감축한다는 목표를 국제사회에 공언하면서 한발 앞서가고 있다. 이처럼 정부 차원의 큰 대책도 중요하지만 우리 모두가 전열기 사용자제 등 에너지 절약과 종이컵 사용 줄이기 등 생활 속 작은 실천을 하는 것도 기후변화 극복과 저탄소 녹생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업들도 이제 녹색경영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녹생성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