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김종창 원장, “금감원 만능 기관 아닌데..."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임기 마지막을 앞두고 저축은행 사태와 관련한 감사원의 금감원 징계에 서운한 감정을 드러냈다. 김 원장은 금융위기 당시 취했던 조치들의 후유증이 지속될 것이라며 여전히 국내 경제가 풀어야할 과제가 남아 있음을 나타냈다.

오는 26일 퇴임을 앞둔 김 원장은 16일 출입기자단과의 오찬에서 최근 감사원의 징계에 대해 “검사 제재를 많이 했는데 이젠 좀 서운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말을 아끼면서 “(사람들이) 금감원은 문제만 생기면 뭐든지 할 수 있는 걸로 생각하는 것 같다”며 “그러니 문제만 생기면 ‘금감원은 뭐했느냐’ 이런다”고 서운한 감정을 드러냈다.

‘8.8클럽’을 도입하는 등 저축은행 규제를 지나치게 풀어준 정부의 책임도 있지않으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2006년) 당시 저축은행법 시행령을 바꿨는데, 그건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 했다”고 답했다.

당국의 대응이 뒤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위기 때 그런 사태(저축은행 영업정지 조치)가 일어났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 일어났을 것”이라며 “사람들이 쉽게 생각하는데, 삼화저축은행 사태를 보면서 ‘큰일날 뻔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부실 징후를 조기에 포착했지만, 금융 시스템에 충격을 줄 것을 우려해 강력한 조치를 미룰 수밖에 없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김 원장은 재임 시절 가장 결정하기 어려웠던 문제로 두 수장이 잇따라 낙마한 ‘KB금융 사태’를 꼽았다.

그는 “황영기 전 회장도 그렇고 강정원 전 행장도 아까운 사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런 문제(두 전 행장의 징계)를 결정할 때는 다른 사심을 버리면 일하기 편하다”며 “(하지만) 그렇게 되니까 여기 와서 무슨 사람 사귀거나 그런 건 안되더라. 사람이 안 붙는다”고 아쉬워하기도 했다.

김 원장은 금감원 직원들이 금융회사 감사나 사외이사 등으로 옮겨가는 ‘낙하산관행’과 관련해서는 “나도 낙하산”이라며 “우리 사회가 전문성을 별로 인정 안 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한편 김 원장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관련해 “100년만에 온 위기 대응하느라 비정상적인 조치를 많이 했다”며 “G20 국가 재정을 보면 재정투입이 GDP 4~5%정도며 금융부문 양적정책이 GDP 10%에 이르렀다.그 얘기는 돈을 퍼부어서 후유증이 앞으로 있을거란 얘기”라고 말해 여전히 해결해야할 과제가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박정민 기자@wbohe>

boh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