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소농에서 농업의 희망 찾다
지난해부터 신문과 방송에는 농업의 위기에 대한 내용들이 많았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질병 확산과 이상기후로 인한 100년만의 혹설과 한파, 한미자유무역협정과 한-유럽 자유 협정, 일본의 방사선 유출 등 우리 농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많은 어려움에 처해있다.

그렇다고 농업은 사양산업이자 비전이 없는 산업이니 접자고 해야 할까? 그렇지 않다. 농사는 천하의 대본이라는 말은 결단코 묵은 문자가 아니다. 이것은 억만년을 가고 또 가도 변할 수 없는 진리이다. 사람이 먹고 사는 식량을 비롯하여 의복, 주옥의 자료는 말할 것도 없고 상업, 공업의 원료까지 하나도 농업생산에 기대지 않는 것이 없다. 그 중심에 농민은 세상 인류의 생명창고를 손에 잡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농학 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연구를 많이 하다 보니 어느덧 한국 농업의 기술력은 이미 갖추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국은 세계 7위 수준의 농업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미흡한 영농현장 활용도에 있다. 영농현장에서 요구되는 종합화된 실용기술 보급이 미흡하고 연구결과의 현장접목 비율이 낮다. 개발한 기술을 현장의 눈높이에 맞춘 보급형 기술로 가공하는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래서 농촌진흥청은 농업경영체의 역량 향상을 통해 2015년까지 10만개의 강소농(强小農, 작지만 강한 농업경영체) 육성에 역량을 집중해 나간다는 ‘강소농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영농규모가 1ha 미만인 소농들이 전체 농업경영체의 76.7%를 차지하는 한국농업의 상황에서 규모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현장에서 요구되는 생산, 가공, 경영, 마케팅 등 종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농협(유통, 가공), 농어촌공사(기반구축, 도농교류), 농수산물유통공사(수출정보), 중소기업청(농업창업 지원) 등과 MOU를 체결했다. 이들 기관에서도 강소농 육성에 뜻을 같이하여 적극 지원할 계획이므로, 생산 뿐 아니라 마케팅, 서비스, 가공 등 농업경영체가 요구하는 모든 기술과 정보를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

사실 농촌진흥청에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낮고, 소비자와 농업인의 다변화된 요구에 맞춘 생산, 가공, 디자인, 마케팅 등 종합적 지식과 기술에 대응 할 수 있는 농촌진흥공무원의 역량강화도 미흡하였다. 과거 60~70년대의 녹색혁명과 백색혁명 성과에 안주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농업인에게 감동을 주는 지도사업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그 동안의 농촌진흥사업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바탕으로 농촌지도사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농민들과 함께 꿈을 키워 한국 강소농의 찬란한 희망을 노래하길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