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다음달 2차 남북ㆍ북미회동, 6자회담 분수령
북핵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6자회담이 두달간 다양한 양자접촉을 거쳐 올 9월부터 본격적인 국면에 진입한다. 특히 2차 남북 비핵화회담과 북미회담이 6자회담 개최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지난 두달은 한동안 꽉 막혔던 북핵 6자회담의 물꼬가 한꺼번에 터져나온 시기였다.

7월 22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남북대화, 7월 28~29일 양일간 뉴욕에서 진행된 북미대화를 거쳐 지난 8일 한러 외교장관 회담, 24일 북러 정상회담, 25일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26일 북한 김정일과 중국 다이빙궈 회동이 열렸다.

지난 북러 정상회담에서는 기존보다 진전된 내용이 나왔다. 북한이 6자회담 재개시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김정일 위원장은 이어 중국 다이빙궈 회동에서도 “즉각적인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했다

북한의 반응을 말잔치 정도로 평가절하하기는 했지만 우리 정부에서도 차기 남북회담에 시동을 걸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후속 남북대화를) 계속 모색중”이라며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구체적인 반응이 없어도 남북대화는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즉각적인 6자회담 재개를 지지하고 있고, 북한과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미국도 과거보다 압박과 설득을 병행하며 6자회담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대북 식량지원을 당근책으로 제시하면서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 복귀 등을 주문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현재 북한과 미국은 지난 7월 북미회담 채널을 통해 후속 회담 교섭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여전히 북핵문제는 미국과 직접 대화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남북대화와 북미대화는 지난 7월처럼 연계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후속 대화과정에서 진통도 예상된다. 김정일 위원장은 북러정상회담에 이어 중국 다이빙궈 회동에서도 “즉각적인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했다. 반면 우리 정부와 미국은 6자회담 재개에 앞서 우라늄농축 프로그램 중단과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 복귀 등 비핵화 선제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오랜만에 다양한 양자접촉 시도가 이어지면서 6자회담 동력을 유지하려는 당사국들이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김윤희 기자 @outofmap> 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