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류 업그레이드를 위한 조건…3C를 드러내고, 3B를 감춰라
제2, 제3의 싸이는 나올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문화계 종사자는 흔히 “예측할 수 없다. 다만 계속해서 씨(투자)를 뿌릴 뿐”이라고 답한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세계에서 일으킨 신드롬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앞서 동방신기, 소녀시대가 중남미, 동유럽 등 세계 각지의 무대를 누비면서 벽안의 팬들을 몰고 다니는 것 역시 예측 불허의 영역이었다. 한류가 4.0, 5.0 시대로 이어져 새로운 신드롬을 창출케 하는 정답은 묵묵히 씨를 뿌리는 일이다. 여기에 씨가 잘 뿌리 내려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어 주는 일이다.

◇‘3C’를 입어라 =한류 발전을 위한 풍토를 만들려면 취할 것과 삼가해야할 것들이 있다. 상대국과 우의를 바탕으로 한 문화교류(Companionship), 창의성(Creative)과 저작권(Copyright)을 우선시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항한(抗韓)’ ‘혐한(嫌韓)’으로 표현되는 반한류 정서는 한류 확산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일본은 독도사태 이후 K-팝, K-드라마에 대한 거부감이 커졌다. 지난해 한국드라마를 많이 트는 후지TV 앞에서 한국드라마 반대 집화가 열렸을 정도로, 반한류 기류는 무시할 수 없을 정도가 됐다. 중국은 동북공정,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등 역사왜곡 문제와 외교적 사건을 둘러싸고 갈등이 커지며 한국과 한국인, 한국사회에 대한 저항심을 키우고 있다. 특히 한류 확산의 새 수단으로 떠오른 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가 반대 편에선 반한류를 전파하는 도구로 쓰인다. ‘김치드라마는 버선쪼가리처럼 냄새나고 길게 전개된다’(중국 포털), ‘한국드라마 즐기는 40-50대 아줌마 공항나가지 마라’ ‘한국 가수가 역사도 모르면서 일본에서도 돈버는 건 기만행위다’ ‘김태희가 일본인은 원숭이고 가장 천한 민족이고 독도는 한국영토라고 발언했다’(일본 2ch) 등 인터넷 상의 반한류 정서는 이성적이거나 논리적이지 않아 해결이 쉽지 않다. 윤재식 한국콘텐츠진흥원 수석연구원은 8일 “반한류 확산의 증거 절차를 확인하고, 왜 나타나는 지 원인을 해결하지 않고선 한류발전방안을 얘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식, 패션, 한옥 등 우리 의식주 문화도 요즘 뜨고 있는 한류 상품의 하나다. 지난해 9월 뉴욕 링컨센터에서 열린 ‘컨셉코리아 S/S 2013’에선 패션 한국에 외국인들의 시선이 모아졌다.

‘크리에이티브’는 한류의 알파이자 오메가다. 그 중에서도 장르와 소재, 유통창구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홍콩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한다. 한때 인기있던 홍콩 영화는 반복되는 장르와 식상함으로 퇴조하고 말았다. K-팝은 단순한 후크송, 화려한 군무가 물릴 즈음에 싸이의 유머로 다양성의 가능성을 내비쳤다. 드라마 역시 출생의 비밀과 복수를 기본으로 한 ‘막장류’에서 수사물 등 장르물로 발전해야한다. 고정민 홍익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는 “문화할인율이 적은(수용되기 쉬운) 애니메이션도 ‘뽀로로’같은 유아물에서 청소년 성인물도 성공작이 나와줘야한다. 웹툰, 뮤지컬, 인터넷소설 등 다양한 장르로 한류가 일어나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 보호 의식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비해 낮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곡당 온라인다운로드 비용은 국내선 평균 63원, 미국은 최저 791원, 영국은 1064원이다. 국내선 아직 사용자 편의 위주다. 음원료 배분과 관련해선 창작자, 가수, 연주자 등 모두가 만족할 솔로몬 해법이 필요할 때다.


◇‘3B’를 벗어라 =2000년대 초반 ‘겨울연가’ 열풍 이후 10여년간 한류가 걸어오면서 드러낸 문제점도 많다. 대표적으로 지난친 상업주의(Business mind), 관료주의(Beureucricy), 비 매너(Bad manner)는 한류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입힌 것으로 꼽힌다. 한류로 인한 제조상품 수출 확대나 관광 수입 증가 등 경제적 효과를 부각시키거나 ‘돈벌이’에 급급한 공연 등은 지양해야할 태도다. 박성현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연구원은 “중국, 베트남, 대만, 일본에서 한류에 대한 거부 반응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선 지나치게 비싼 공연, 갑작스런 취소 및 잦은 연기로 불만을 사고 있다”면서 “한류는 제품이 아닌 문화이기 때문에 보다 섬세하게 대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초창기엔 정부가 앞장서서 한류를 진작시키려다 역효과를 부르는 일도 있었다. 정부가 콘텐츠 제작 지원 등 ‘그림자 후원(Shadow support)’ 역할로 머물러 달라는 게 민간의 바램이다. 이와 관련 김경남 문화체육관광부 한류문화진흥단 사무관은 “경제적 열매에 집착하지 않고, 한국 문화를 세계인과 공감하는 방향으로, 소통 발전시켜 나가자는 게 한류에 관한 정부 정책 기조”라고 말했다.

한류 지역은 아시아 편식에서 벗어나 중남미, 동유럽으로 뻗어가고 있다. 지난해 5월 콜럼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한류 종합 쇼케이스 무대에서 중미의 젊은층이 K-팝 스타에게 열광하고 있다.

이런 노력들은 정작 한류 스타 개개인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지난해 블락비는 태국에서 무례한 인터뷰로 한류에 찬물을 끼얹었다. 민간 외교인이어야 할 스타들의 그릇된 문화 우월감, 상대를 무시하는 태도 등은 전체 한국과 한국인, 한국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키운다. 연예기획사의 매너 교육을 포함한 스타 양성 시스템, 불량한 연예기획사를 거르는 대책이 필요하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사진제공 =한국콘텐츠진흥원]

다민족 다문화의 용광로 미국에선 비 한국계 사이에서 K-팝 문화 흡수가 빠르다. 지난해 6월 LA한국문화원이 주최한 제2회 K-팝 경연대회에서 K-팝 팬들이 춤과 노래를 따라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