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7만 이산가족들 모두 만나게 해주자
우여곡절 끝에 남북 이산가족들이 다시 만날 수 있게 됐다. 2010년 10월 이후 3년4개월 만이다. 가슴 졸이며 노심초사하던 이산가족들에게 남북의 20~25일 금강산 상봉 합의는 단비 같은 소식이다. 한ㆍ미 군사훈련을 트집 잡아 판을 깰 것 같던 북한이 어쨌든 무난히 합의해 준 것은 다행이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성공적인 상봉 행사는 물론 모든 남북문제에 있어 상호 신뢰를 구축하고 관계 개선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이제까지 방북이든 방남이든 직접 얼굴을 맞대고 만난 이산가족 수는 1만8000명을 약간 웃돈다. 화상 상봉을 통한 간접 만남도 3800명이 채 안 된다. 198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수(12만9264명)를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한 것이다. 생사가 확인돼 하루라도 빨리 만남을 기다리는 이산가족도 5만5000명이 넘는다. 그러나 신청자들 가운데 절반 가까운 5만7784명은 이미 유명을 달리했다. 남은 7만1480명의 생존자도 53%가 80세 이상 고령자들이다. 빨리 더 많은 가족을 만날 수 있게 해야 한다. 지금처럼 한 번에 100명씩 만나는 수준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 이산가족상봉 행사의 패턴을 전향적으로 바꿔야 한다. 우선 행사를 정례화할 필요가 있다. 1년에 두 차례 또는 분기별로 네 차례 시기를 못박고 정해진 곳에서 만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이든, 평양이든, 금강산이든 어디여도 상관없다. 북측이 희망하는 곳으로 잡으면 된다. 상봉 인원도 파격적으로 늘려야 한다. 화상 상봉도 확대해야 한다. 거동이 불편하거나 행동에 제약이 따르는 어르신들에게 화상 상봉이라도 가능하도록 상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좋다. 2010년 이후로 끊긴 생사확인 작업도 재개돼야 한다.

이제부터가 중요하다. 한ㆍ미 군사훈련을 트집 잡지 않고 남북 관계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자신들의 진정성을 믿어달라는 북한이지만 끝까지 마음 놓아선 안 된다. 2010년 이산가족 상봉행사 후 연평도 포격을 감행했던 그들이다. 양보의 대가라며 금강산 사업 재개나 식량 지원, 6자회담 재개 등을 요구해 올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적어도 이산가족 상봉 문제만은 정치ㆍ군사적 이슈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최근 일본과의 외교전에서 보여 주었던 중국과의 절묘한 협력관계로 북한을 압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번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잘 치러지고 7만여 이산가족 모두 어떤 식으로든 북측 가족을 꼭 한 번 만날 수 있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