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캥거루 형 뜀걸음 포유류 화석 진주서 세계최초 발견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경남 진주시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살았던 뜀걸음 형태의 포유류 발자국 화석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포유류 발자국 화석은 캥거루처럼 뜀걸음(hooping)하는 형태의 총 9쌍의 뒷발자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생대 백악기 화석으로는 세계적으로 한 차례도 보고된 적이 없다.

[사진=경남 진주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된 뜀걸음 화석]

뜀걸음(Hopping)이란 뒷발로만 뜀뛰기 하듯이 이동하는 형태로, 캥거루, 캥거루쥐 등이 대표적이다. 백악기는 중생대의 마지막 시기인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600만년 전 사이의 기간으로 공룡이 가장 번성했다가 멸종되던 때이다.

이번 발견을 통해, 우리나라 중생대에 서식했던 척추동물들 가운데 공룡ㆍ익룡ㆍ새ㆍ악어ㆍ도마뱀ㆍ어류 등과 함께 포유류도 서식하였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가 중생대 백악기 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이 세계적으로 매우 높았음도 입증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사진=뜀걸음 화석 추정동물과 유사한 캥거루 쥐]

이 화석은 지난해 1월 19일, 진주교육대 김경수 교수 연구팀(최초 발견자: 하동 노량초 교사 최연기)이 발견했으며, 이후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을 중심으로 한국 미국 중국으로 이뤄진 ‘3개국 국제공동연구팀’이 연구에 나섰고, 세계적인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전문가들이 한국을 방문해 우리나라 화석산지에 대한 과학적인 국제 비교연구를 실시했다.

이 화석이 발견된 지층은 약 1억 1000만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진주층이며, 새롭게 명명되어진 화석의 이름은 ‘코리아살티페스 진주엔시스(Koreasaltipes Jinjuensis)’로 ‘한국 진주(진주층)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뜀걸음형태 발자국’이라는 뜻이다.

진주층이란 중생대 백악기 약 1억 1000만 년 전후에 경상남북도 지역에 쌓인 퇴적층이다. 진주층에서 발견된 화석들에는 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을 비롯해 어류, 곤충, 식물화석 등 산출 다양성과 규모면에서 국내 최대 수준이며, 중생대 백악기로는 세계적인 수준의 학술가치가 규명된 공룡 익룡 새 발자국 화석들이 다수 발견되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사진=뜀걸음 화석 크기]

지금까지 뜀걸음형 포유류 발자국 화석은 중생대 쥐라기 아메기니크누스(Ameghinichnus)와 신생대 무살티페스(Musaltipes) 발자국 화석만이 알려져 있었다. 이번에 발견된 코리아살티페스 발자국 화석은 아메기니크누스와 무살티페스 화석과는 발가락 형태와 각도, 보행렬의 특징 등 여러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며, 가장 명확한 뜀걸음(hopping)의 형태를 나타낸다.

[사진=유사 동물의 발자국 흔적과 화석]

아메기니크누스(Ameghinichnus)는 아르헨티나 중생대 쥐라기(약 2억 130만 년 전부터 약 1억 4500만 년 전) 중기 지층에서 발견된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며, 5개의 발가락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앞발 뒷발이 모두 잘 나타나는 특징이 있음. 보행렬에는 꼬리가 끌린 자국도 종종 나타남

무살티페스(Musaltipes)는 미국 신생대 마이오세기(약 2303만년 전부터 약 533만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포유류 발자국 화석으로, 2족 혹은 4족 보행이 모두 가능했던 신생대 포유동물이 남김

이번 연구결과는 중생대 백악기 관련 국제 저명학술지(SCI)인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중생대 백악기에서 발견된 세계 최초의 뜀걸음형(hopping)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7일 온라인호를 통해 공개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세계적으로 진귀한 이 뜀걸음형 포유류 발자국 화석 진품을 천연기념물센터 전시관을 통해 내년 하반기부터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