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 경영쇄신안 발표] 총수 부재속 미전실 전격 해체…삼성號 어디로
- 미전실 물리적 해체 착수
- 사실상 그룹 해체…계열사 각자도생 시대로
- 서초사옥 41층 이재용 부회장 집무실도 수원행
- 2008년과 달리 질서있는 해체 못해…해체 이후 불안감 커져
- 공채 등 채용축소, 사회공헌 축소 우려

[헤럴드경제=권도경ㆍ홍석희 기자] ‘총수 부재속에 60년만의 그룹 컨트롤타워 해체…한번도 가본적 없는 길 가는 삼성號 어디로…’

삼성그룹의 서초사옥시대가 막을 내린다. 삼성그룹은 28일 미래전략실(미전실) 해체를 골자로 한 경영쇄신안을 발표했다.

미전실의 물리적인 해체는 이미 진행되고 있다. 


삼성의 심장부였던 서울 서초사옥 38층, 40층과 41층에 있는 미전실 사무실은 다음달초 폐쇄된다. 서초사옥에 미전실 관련된 물리적인 공간은 전혀 남지 않는다.

하지만 ‘질서있는 해체’에 대한 요구가 상당했던 삼성 안팎에서는 컨트롤타워의 부재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미전실과 오너십이란 구심점을 잃은 삼성이 제대로 갈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과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삼성은 이날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기간 종료에 맞춰 경영쇄신안을 발표했다. 쇄신안의 핵심은 그룹의 콘트롤타워 기능을 해왔던 미전실 해체다.

미전실은 삼성의 역사 속에서 그룹의 주요 의사결정을 책임지는 기구로 자리 잡았다. 미전실의 뿌리는 고 이병철 선대 회장의 지시로 만들어진 비서실이다. 1959년부터 1998년까지 비서실, 이후 2006년까지 구조조정본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전략기획실이란 이름으로 운영됐다. 그러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국회 청문회에서 없애겠다고 공언하면서 해체되는 운명을 맞았다.

미전실이 해체되면 삼성은 서초사옥 41층에 있던 이 부회장의 사무실도 수원으로 옮길 것으로 전해졌다. 미전실 임직원 200여명은 해체 발표와 함께 삼성전자 수원 본사로 이동할 예정이다. 임직원들은 인사분류 작업을 거쳐 원래 소속된 계열사나 다른 계열사로 배치된다.

미전실이 사라지면 각 계열사들은 독립경영과 이사회 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룹 차원의 전략과 인사, 기획, 법무 등 업무는 삼성전자ㆍ생명ㆍ물산 등 3대 주력 계열사로 이관될 예정이다. 이번에 삼성은 미전실 기능을 유지하는 어떤 조직도 두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2008년 삼성특검 당시 미전실 전신인 전략기획실이 해체된 후 업무지원실이 상설 조직으로 운영된 바 있다.

이같은 쇄신안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이 부회장의 구속 사태를 부른 정경유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취지다.

미전실 해체를 바라보는 삼성 안팎의 시선은 엇갈린다. 삼성 내부에서는 쇄신의 당위성을 인정하면서도 외부상황에 떠밀려 거칠게 변화를 받아들여야한다는 점을 씁쓸하게 여기고 있다. 재계에서도 관리의 삼성답게 정교하고 질서있게 쇄신작업을 단행하는게 아닌만큼 사후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삼성 내 위기감과 박탈감은 2008년과는 차원이 다르다. 컨트롤타워가 해체됐던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8년 당시에는 삼성은 이건희 회장이 은퇴 의사를 밝히고 물러나기까지 2개월 남짓한 시간동안 ‘컨트롤타워와 총수가 없는 삼성’을 차분히 준비했다. 이번에 삼성은 총수 부재상황에서 컨트롤타워를 해체하는 상황까지 맞닥뜨렸다.

안재욱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전실은 그동안 그룹 차원에서 필요했던 조직이기에 존재했는데 삼성 스스로 결정한 것이 아닌외부 힘에 의해 억지로 해체가 진행된다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기업의 의사결정은 기업 내부 상황을 가장 잘 알고 있던 경영자들이 전적으로 맡아야한다”고 말했다.

재계에서는 60여개 계열사를 거느린 삼성이 컨트롤타워 없이 제대로 운영될지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삼성만의 독자적인 경영스타일과 계열사간 시너지효과가 사라질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경상 대한상의 기업환경조사본부장은 “그동안 삼성은 그룹 운영을 통해 거둬들인 장점이 크다”며 인재 경영을 잘해 ‘관리의 삼성’으로 부를 정도였는데 독자 계열사로 가게 되면 시너지효과가 사라지게 된다“고 말했다.

미전실이 사라지면 삼성의 사회공헌활동도 축소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룹 인사 기능이 없어지는 만큼 그룹 공채도 사라지게 되면서 계열사별로 신입사원을 채용하게 된다. 이경우 신규 고용창출 규모는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주요 계열사의 기부금 집행 규정을 대폭 강화해 후원금도 보수적으로 집행할 것으로 보인다.

권도경ㆍ홍석희 기자/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