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수년내 다가올 고령화의 재앙 치매 100만명시대
치매환자 100만명 시대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10년도 남지 않았다는 예측이 나온다. 치매 환자의 급증과 이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치매는 초고령화 사회의 재앙중 최악이다. 초고령화 사회에선 아이 울음소리만 그치는 게 아니다. 치매로 인한 노인들의 신음과 고함소리가 높아진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치매 노인은 68만8000여명이다. 지금같은 증가추세라면 2024년 100만명, 2050년에는 271만명까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지금도 65세 이상 인구 10명중 한명은 치매 환자이고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로 인한 비용도 어마어마하다. 중앙치매센터가 집계한 치매관리비용은 지난 2015년에 13조2000억원이다. 개인이 지불한 진료ㆍ간호비와 국가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출 등을 합친 것인데 GDP의 거의 1%에 육박한다.

치매환자 1명당 연간 관리비용은 2015년 기준으로 2033만원이나 된다. 그해연간 노인부부 가구소득이 2582만원이니 거의 대부분(78.7%)을 쏟아붓는다는 얘기다. 노후에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1위가 치매라는 사실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대목이다. 치매 환자가 생기면 치료비에 버는 돈이 다 들어가 먹고 살 길이 막막해질 수밖에 없다. 치매가 개인과 가족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가 되는 이유다.

치매는 이미 사회적 이슈가 된지 오래다. 2014년 기준으로 치매 환자에 대한 직접 부양부담을 가진 가족의 수가 140만명에 달한다. 장기요양치료를 받는 환자들을 제외한 수치가 이 정도다. 이들의 약 80%는 치매 환자 부양을 위해 일하는 시간을 줄였거나 직장을 그만둬야했다.

과거와 달리 이제는 절대적인 수명 연장보다는 삶의 질을 포함하는 건강 수명이 중요해졌다. 국가 차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물론 손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복지부는 치매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종합계획을 수립해왔으며, 현재 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2016~2020년)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조기 발견과 현상 유지에 치중돼 있다.

치료제의 개발과 환자 돌봄 인력의 전문성 확보 등 좀 더 전향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지난해 항암제, 희귀의약품 등에 한해 운영하던 조건부 허가 제도를 치매 등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방향의 개선책 등이 더욱 필요하다는 얘기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