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앤스토리] 이호철 회장의 IR론 “자본시장은 미래 역동성…IR은 그 중심”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자본시장은 우리 사회의 미래 역동성을 이끌 동력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경제 관료로서 25년간 실무 경험을 쌓은 이호철 한국IR협의회 회장이 한국 경제를 진단하며 꺼내든 키워드는 ‘역동성’이다. 고도 성장기에 한국을 역동적으로 성장케 한 ‘인적 자원(human resource)’이 저출산ㆍ고령화시대를 맞아 효용 가치가 떨어지면서 새로운 활로를 만들 대안으로 자본시장이 우뚝 서야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호철 한국IR협의회 회장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우리 사회엔 지금 역동성이 없어졌다. 인력이 줄어들었다면 이젠 자본시장의 발전을 논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이 자본시장에 낀 많은 왜곡도 해소해야 할 것이다.”

그는 자본시장의 왜곡을 막기 위해, 우선 ‘오너’라는 말이 쉽게 쓰이는 사회 풍토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 얘기를 하면서 ‘오너’라는 표현을 참 많이 한다. 국내 굴지의 어느 대기업이든 상장이 되면, 기업의 주인은 주주가 되는 것인데도 말이다. 대주주 혹은 지배주주로 불리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누군가를 오너로 지칭할 순 없다. 사람들이 흔히 대기업의 오너를 지칭하면서 어떤 기업은 누구의 것이고, 다른 기업은 또 다른 누구의 것이라는 식으로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 풍토에서 실제로 주식을 가진 주주들이 존중받는 사회가 가능할 수 있을까. 주주가 존중받는 사회가 되도록 변모해야 한다.”

기업들의 소극적인 IR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도 잊지 않았다.

“좀 더 기업들이 주주와 소통하기 위해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기업의 44%가 상장 이후 IR을 하지 않는다. 매년 IR을 하는 기업은 10%대에 불과하다”

이 회장은 기업의 책임을 설명하면서도, 이를 위해 제3자의 시각도 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특히 상장 기업에 대한 사회적 존경이 부족하다는 점을 아쉬워했다.

“상장하는 기업에겐 많은 걸림돌이 있다. 우리는 그것도 해소해 줄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상장 기업들을 퍼블릭 컴퍼니(Public Company)로 불린다. 상장기업이 공기업이라는 얘기가 아니라, 공개기업이라는 뜻이다. 공개기업으로서 사회에 모든 부분들을 얘기하는 기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들에 대한 사회적 존경도 필요하다”

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