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통기한의 비밀 ①] 유통기한 지났다고 버려진 통조림 “억울합니다”
유통기한은 판매할 수 있는 기한
먹을 수 있는 섭취기한과 달라

나라별ㆍ제조사별 표기도 제각각
표시 약자 알아두면 식품섭취 안전

[헤럴드경제=조현아 기자] 살아가는 데에 있어 ‘의식주’의 질은 삶의 질과 직결된다. 특히 ‘먹는 즐거움’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식(食)’을 준비하고 받아들이고 내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생명유지뿐 아니라 삶을 풍성하게 채우고 스트레스를 없애기도 한다.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먹거리는 자연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필요에 의해 가공됐다면 신선한 상태를 유지해야 좋다. 우리가 먹는 식품에는 수명이 있다. 식품의 수명만 잘 알고 있어도 지혜로운 식생활자가 될 수 있다. 특히 고온다습한 장마철엔 외부 환경에 의해 음식물이 쉽게 상하고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중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유통기한=섭취기간?’=‘유통기한 지난 음식은 무조건 버리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초보생활자다. 그러나 흔히들 이같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을 먹지 않고 버렸다는 대답이 56.4%이고, 아니다라고 답한 사람은 33.4%에 그친 것만 봐도 ‘유통기한=섭취기간’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식품의 ‘유통기한(Sell by date)’은 말 그대로 제조 후 유통할 수 있는 기한이다. 즉, 식품을 판매처 진열대 등에서 놓고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최종기한으로, 식품의 신선도와 직결되지만 반드시 버려야 하는 기한은 아니다.

유통기한과 혼동하는 ‘유효기간(소비기한ㆍuse by date)’은 먹어도 건강이나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식품 소비의 최종 기한이다. 일반적으로 유통기한보다 유효기한이 길다. 

[그래프=식약처 식품지킴이 블로그 캡처]

또 식품이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종일인 ‘품질유지기한(상미기한ㆍBest before date)’도 있다.

한마디로 ‘팔아도 되는’ 유통기한, ‘먹어도 되는’ 유효기한, ‘먹기 좋은’ 품질유지기한이다.

그러므로 식품을 구입할 때는 ‘유통기한’을 잘 살펴야 하며, 먹을 때는 ‘유효기한’ 안에 있는지 챙겨야 한다. 유통기한이 지나도 유효기한이 남았다면 충분히 섭취 가능하다. 유효기한마저 지났다면 버리는 것이 좋다. 음식물 최적의 섭취기간은 최대한 신선할 때다. 그러므로 음식물 보관 시 소비기한을 따로 적어두면 좋다. 또 기한이 충분히 남아있더라도 음식물 상태를 잘 살펴 섭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안전한 식탁을 지키는 지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알쏭달쏭 유통기한 표시, 어떻게 읽지?=우리나라는 예전에는 식품에 유통기한만 표시했었지만 최근에는 제조 연월일, 유통기한 또는 품질유지기한 중 1~2개를 표시하고 있다. 유통기한에 대한 표기는 나라마다, 제조사마다 제 각각이다. 특히 수입품일 경우 적혀 있는 숫자와 알파벳이 마치 암호처럼 보여 난감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유통기한, 어떻게 읽어야 할까. 


우리나라는 포장 오른쪽 하단에 ‘00년 00월 00일까지’로 유통기한을 표시하고 제조일은 ‘제조일로부터 00일까지’로 표시하고 있다. 또 통조림 식품은 영문으로 9월은 S(September), 10월은 O(October)처럼 각 달의 영문 첫 글자를 따서 표기한다.

가장 어려운 것이 수입식품의 표기를 알아보는 것. 일반적으로 ‘일, 월, 년’ 순으로 표기하며 PRO(P), PROD, PRD는 제품(Product)을, MFG, M은 제조(Manufacture)를, EXP(E)는 만기일(Expire)을, BE, BBE는 품질유지기간(Best Before 00)을, CONSUME BEFORE 00은 00일 이전에 섭취해야 한다는 것의 표기다. 예를 들어 ‘EXP 17.07.2018’는 유통기한이 2018년 7월 17일까지란 뜻이고, ‘PRD 18.07.2016’은 제조일이 2016년 7월 18일로 이 제품의 유통기한은1년인 셈이다. 


또 생산라인과 시간을 표시하기도 하는데, ‘09:32 LT148 31/07/2017’로 돼 있다면 LT148라인에서 오전 9시32분에 만들어졌으며 2017년 7월 17일까지 유통해도 된다는 뜻이며, 생산라인과 제조시간은 유통기한보다 뒤에 표시하기도 한다.

또 유통기한 2017년 10월 23일을 ‘1017LJ23’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첫 두 숫자는 달(月)을, 다음 두 숫자는 해(年)를, 그 다음 두 영문은 제조코드를, 네 번째 두 자리는 일(日)을 나타낸다. 또 ‘M1709411’로 돼 있다면 제조일이 2017년 4월 4일을 뜻하는 것으로, M은 제조일(Manufacturing)을, 17은 2017년을, 094는 1년 중 94번째 날(즉, 4월4일)을, 11은 11번째 생산라인이라는 표시다. 이 밖에 제조일을 달, 해, 생산공장 코드, 날 순으로 표기한 것도 있다. ‘MFG I16H30’에서 MFG는 제조일을, I는 알파벳 순으로 9번째이므로 9월을, 16은 2016년을, H는 생산공장을, 30은 날을 뜻한다. 수입품은 유통 표기법과 표시 위치도 제각각이라 더 알아보기 힘들다. 국제적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jo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