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동산 대책 어떠십니까?…본지 건설사 10곳 설문] “5년 내내 부동산 규제하면 건설업은 골병든다”
건설사 6곳 올 분양목표 달성 가능성 속
해외발주 급감·SOC도 부진 ‘사면초가’
건설사들 사업 다각·전문화로 출구 모색

건설사들은 문재인 정부가 참여정부의 한풀이에 나설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이명박 정부 때 시장 안정의 효과를 냈음에도, 참여정부는 집값 잡기에 실패했다는 ‘주홍글씨’를 지우기 위해 지나친 규제를 내놓을 것이란 우려다. 지나친 규제는 시장 질서를 잡기는 커녕 오히려 시장을 망가뜨릴 수 있다는 의견들이 쏟아졌다.

헤럴드경제의 설문에 응한 10대 건설사 가운데 6곳은 고강도 규제책에도 올해 계획한 분양목표는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20%이상 축소될 것이란 응답은 단 하나였다. 그러나 건설사들은 당장이 아닌 그 이후를 생각하면 막막하다는 입장이다. 건설사 8곳은 현재의 규제 국면이 문재인 정부 내내(6곳) 혹은 임기 후반(2곳)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1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본지가 설문조사를 한 결과 ‘투기과열지구ㆍ투기지역 지정ㆍ청약제도 개편ㆍLTVㆍDTI 한도 축소ㆍ다주택자 양도세 강화보다 분양가 상한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건설사들은 응답했다.

A건설사는 “해외발주 급감,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부동산시장 냉각 등 국내 건설산업은 이른바 사면초가의 위기”라고 토로했다.

정부 규제를 상수로 놓고 사업계획을 짜야 하는 건설사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번 규제로 주택사업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 응답한 B건설사는 “기업은 정부 정책을 존중하고 발맞춰야 한다”면서도 “다만 현재의 부동산 정책은 급하게 만들어져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보다 정교하게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건설사 역시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좀더 근본적이고 세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부의 지나친 규제가 시장을 왜곡해 혼란만 가중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D건설사는 “시장 기능에 맡길 수 있는 부분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 지정에 따른 풍성효과, 청약요건 강황에 따른 실수요자 피해 등도 거론됐다.

건설사들이 찾은 돌파구는 사업 다각화와 전문화다. 주택사업에 편중된 사업구조를 재편해 적극적으로 먹을거리를 찾아 나서겠다는 것이다.

E건설사는 “기획, 시공, 운영을 아우르는 부동산 디벨로퍼로서 소프트웨어적 사업역량을 활용해 임대와 운영, 문화산업, 금융콘텐츠 확장 등 다양하게 사업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건설사들 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지역주택조합, 민간제안형사업, 공원조성특례사업 등 다양한 신사업을 발굴해 균형 있는 수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기업형 임대사업이나 해외주택사업도 건설사들의 성장동력으로 꼽혔다. 또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우량사업장 조기 확보 등을 통해 양질의 프로젝트가 수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 구축도 다짐했다.

지난해 사상 최악을 기록한 해외건설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안도 강조했다. E건설사는 “해외 대형공사 발주가 늦어지는 것에 대비해 중남미 등 신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런가하면 F건설사는 “미래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기업의 노력에 국가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당부했다.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고용주 롯데건설 주택사업부문장, 김창환 대우건설 주택건축사업본부장, 성상록 현대엔지니어링 사장, 우무현 GS건설 건축부문대표 부사장, 이기동 대림산업 주택영업실장, 이영호 SK건설 건축기획본부장, 이용일 포스코건설 건축사업본부장, 장경일 현대산업개발 건축주택사업본부장,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 최치훈 삼성물산 건설부문 사장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