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가장 먼저 근절돼야할 금융 적폐는 ‘官治’와 ‘勞治’
금융감독원이 “회장 선임 절차를 보류하라”고 하나금융 회장추천위원회에 권고한 것은 대놓고 ‘관치’에 나서겠다는 선언에 다름아니다. “나중에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불거지면 하나금융뿐 아니라 금융산업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란 설명은 오히려 구차하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대주주가 없어 금융지주 회장의 장기집권이 가능한 것”이라고 불쏘시개를 던지자 최흥식 금감원장도 “금융지주 회추위 구성에 비합리적이고 불공정한 점이 있다”고 풀무질을 한 게 오래전이다. 급기야 하나금융에 회장 후보자 평가항목과 배점 자료를 요구하며 자율시정을 요구하기도 했다.

하나금융은 회추위에서 현직 회장을 제외시키고 주주나 외부자문 기관 추천의 사외이사 7명으로만 구성하는 한편 기존 해외 MBA 지원 프로그램을 후보자 중심으로 개편ㆍ강화했다. 경영발전위원회의 임원 성과 평가 규준도 개정키로 했다.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금융CEO는 실적으로 말해야 한다. 김정태 회장은 지난 6년간 하나금융의 눈부신 실적을 이끌어왔다. KEB외환은행과의 합병을 2년이나 앞당겨 성사시켰고 지난해 순이익은 사상 최대인 2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4대 은행그룹중 가장 높은 61%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올 연초에는 5년만에 하나금융지주가 신한금융 주가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런데도 금융당국은 지시와 다름없는 회장 선임절차 보류를 권고했다. 이제는 물불 가리지 않고 김정태 회장 3연임 저지에 나서겠다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 노조의 주장대로 김 회장을 전 정권의 수혜자요 적폐의 대상으로 보는 모양이다. 최순실의 프랑크푸르트 금고지기 역할을 했던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특혜 승진과 박근혜 정부 창조경제 1호 기업의 상징성을 가진 아이카이스트에 특혜 대출을 해줬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머리가) 안 돌아가느냐”는 말까지 들으며 서슬퍼런 청와대 안종범 정책조정수석의 지시를 두번이나 거절한게 김 회장이다. 금융지주 회장이 20억짜리 대출을 직접 지시했다는 것도 민간은행의 의사결정 체계를 모르는 사람들 얘기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되풀이되는 관치금융의 그늘은 사라져야 한다. 안그래도 은행연합회에 풀단을 구성해서 은행권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통제하겠다는 후진적 관치 정책을 꺼내는게 금융당국이다. 공기업도 아닌 민간 금융기관의 지배구조에 금융당국이 직접 관여하는 것은 반시장적이다. 게다가 노치와 결합했다면 그건 기회주의적 신금융적폐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