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 칼럼-박인호 전원칼럼니스트]귀농·귀촌은 ‘쇼?’가 아니다
‘전원생활을 즐기려는 귀촌과 달리 귀농은 비교적 젊은 층이 중심이다’(A신문 칼럼)

‘한 해 귀농한 인구가 50만 명에 육박할 정도로…2016년 귀농·귀촌한 48만9000명 중 30대 이하 청년이 절반(50.1%)에 달했다’(B신문 기획기사)

이게 도대체 뭔 소리? 필자는 매일 아침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귀농·귀촌 관련 뉴스를 검색해 읽는다. 그런데 부풀리기와 띄우기 식 보도가 여전히 난무하고 있어 실망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먼저 A신문 칼럼과는 달리 젊은 층이 귀농의 중심이었던 적은 이제껏 없었고, (필자의 개인 견해로는) 앞으로도 없을 것 같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전체 귀농가구(1만2875가구) 중 2030세대 비중은 고작 10.4%다. 매년 그랬듯이 50대가 39.9%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25.4%), 40대(18.3%), 70대 이상(6%) 순이었다.

B신문의 기획기사는 귀농과 귀촌의 구분도 없이 뒤죽박죽이다. ‘한해 귀농인구 50만 명 육박’은 정말 어처구니없다. 2016년 귀농인은 1만3019명이고 동반 가족을 포함해도 2만559명(전체 비중 4.1%)에 불과했다. 2016년 전체 귀농·귀촌인구도 48만9000명이 아니라 49만6048명이다. 이중 귀촌이 47만5489명으로 95.9%를 차지한다.

귀촌의 경우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 기준 탓에 거품이 심각하다(특히 2030세대 통계가 그렇다). 거품이 잔뜩 낀 귀촌통계를 그대로 인정한다면 전체 귀농·귀촌인 중 30대 이하 비중은 50.1%다. 하지만 B신문의 표현처럼 ‘30대 이하 청년’은 아니다. 갓 태어난 신생아부터 19살까지 포함된 수치다. 2030 청년통계 부풀리기의 대표적인 사례다.

필자가 두 신문의 사례를 들어 시시콜콜 까발린 이유가 있다. 이렇게 잘못된 내용들이 온라인을 통해 그대로 확대 재생산되기 때문이다. 잘못된 내용들은 대개 ‘귀농·귀촌 부풀리기’, ‘2030 귀농 띄우기’ 등에서 비롯된다. 전체 농가의 3.2%(매출기준)에 불과한 억대 농부 띄우기는 도를 넘어선지 이미 오래다. 요즘은 2030 성공사례 띄우기가 한창이다.

그런데 귀농·귀촌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런 잘못된 흐름에 대해 그리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것 같다. 오히려 정부가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2017~2021년)’에서 핵심 목표로 내건 청년(2030세대) 귀농 활성화 등의 붐업 조성에 톡톡히 한몫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과연 ‘원죄(?)의 책임’은 없는 걸까?

2009년 시작된 제2차 귀농·귀촌시대가 올해로 10년째다. 이 기간 정부와 지자체들은 귀농·귀촌 흥행몰이에 치중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한 해 귀농·귀촌 50만 시대’라는 거품이 만들어졌다. 거품은 생산과정에서의 부작용 뿐 아니라 소멸 과정에서 더 큰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실업대책 차원에서 진행 중인 2030 귀농몰이도 그래서 염려스럽다.

6·13 지방선거가 끝나 7월부터는 새 단체장이 이끄는 민선7기가 시작된다. 귀농·귀촌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도 새 장관을 맞게 된다. 귀농·귀촌이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위기에 처한 농업·농촌의 중요한 대안임은 분명하지만 진정성이 결여된 흥행몰이 식 정책과 사업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 농촌에서의 인생2막 또는 3막의 삶이 ‘쇼(?)’는 아니지 않는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