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8·2대책 1년, 양극화만 심화된 부동산 시장
8ㆍ2 부동산 대책이 시행된지 1년을 맞았다. ‘규제 폭탄’이라고까지 불리던 8·2 부동산 대책은 서울처럼 집값이 비싼 지역에서는 다주택자에게 양도소득세를 무겁게 매기고, 청약 1순위 요건을 강화하며, 주택담보대출을 옥죄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었다. 서울 일부 지역 아파트값 급등의 원인을 실수요가 아니라 투기수요라고 보고 투기세력으로 지목된 다주택자와 재건축규제에 초점이 맞춰졌다.

정부는 그 결과 가격 급등지역의 아파트값을 잡았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달 말 국회 보고에서 “대책이 성공적이었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올 상반기 전국 평균 집값 상승률이 0.47%로 종전 5년 평균(0.61%)을 밑돌았다는게 그런 판단의 이유다.

하지만 시장을 보면 그런 말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각종 투기근절대책과 재건축 규제와 초과이익환수제가 시행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안정된 것으로 보이지만 서울과 지방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더욱 뚜렸해졌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한 해 동안 6.8% 뛰었다. 그 전 1년(4.7%)보다 오히려 가파른 상승세다. 송파구(12.8%)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14.4%)는 두 자릿수 넘게 올랐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2.1% 떨어졌다.

심지어 최근 서울의 집값은 더 뛰고 있다. 한국감정원의 통계를 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16%가 올랐다. 3주 연속 상승 폭은 확대되고 있다. 게다가 오르는 곳만 많이 오른다. 박원순 시장의 여의도ㆍ용산 통합개발 발언의 영향으로 영등포(0.28%), 용산(0.27%)이 상승을 주도했고 강남(0.21%), 송파구(0.19%)도 많이 올랐다.

정부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 조짐에 추가 대책을 내놓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하지만 각종 규제 조치들은 이제 쓸만큼 다 썼다. 더 이상 내놓을 게 뭐가 있을지 궁금할 정도다.

시장 원리에 맞춘 공급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서울과 분당 등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급등한 이유는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 때문이다. 학군과 교통 여건이 좋은 곳은 여전히 수요가 몰린다. 그런데 투기 수요를 잡는 데만 치중했을 뿐 공급까지 다 묶어놓았으니 가격이 뛰는 것은 당연한 시장 원리다. 당첨만 되면 막대한 시세차익을 챙기는 이른바 ‘로또 아파트’가 생긴 것도 이때문이다.

공급 전략은 일자리 정책과도 일맥상통한다. 건설 부진으로 올 하반기에만 2만4000명이나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던 이 분야 취업자들도 구할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