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S 잇단 화재 불안감 증폭…정부는 전면실태조사 소극적
제어시스템 오류 사실상 외면
배터리업체도 임시방편 조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시설로 자리 잡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최근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ESS화재는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한 배터리 제어시스템(BMS) 오류가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관련 업계의 대책은 미봉책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면적인 실태조사 등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대형화재 사고를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ESS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발생한 ESS의 화재 폭발 사고는 7건으로 집계됐다. 고창ㆍ경산(변전소), 영암ㆍ거창(풍력발전소), 군산ㆍ해남(태양광발전소), 세종아세아제지(피크제어용)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재산피해가 2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 5월 이후에만 6건의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ESS 화재 건수는 1건이었다.

업계에서는 올해와 같은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될 경우 ESS 화재 사고의 재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 업계 관계자는 “정확한 사고 원인이 확인되면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국내에 ESS 도입 자체가 급격히 늘어난 이유도 있지만 올해 고열로 인한 (ESS) 화재가 늘어나는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정부는 ESS 화재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ESS는 전년 동기(89MWh) 대비 20배 증가한 1.8GWh가 보급됐다. 이는 지난 6년간의 총 보급량(1.1GWh)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전기안전공사는 전체의 약 10%에 불과한 100여 개소의 ESS에 대해서만 실태 조사를 진행한 상태다. 현재 국내 전체 ESS는 1008개소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향후 추가적인 ESS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면적인 ESS 설비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정부는 민간 발전소에 책임을 전가하고, 산하기관인 전기안전공사의 경우 비용 문제 등으로 전면적인 실태 조사를 부담스러워 하는 상황”이라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부여 등 ESS 도입을 위한 각종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정부 입장에서 잇따른 ESS 화재의 책임을 인정하기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 역시 비용 등의 문제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소극적인 분위기다. 화재 사고가 난 ESS를 대상으로 일부 부품을 교체하는 AS를 제공하거나, 배터리 사용 용량을 제한하는 등의 임시 방편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무엇보다 기존 ESS 도입 자체를 전면 재검토해야 할 BMS 오류에 대해서는 사실상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사고 조사 결과, 잠정적인 결론이 나온 경산ㆍ영암ㆍ거창 ESS의 경우 사고당시 BMS에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관계자는 “전문가들이 최근의 화재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BMS 오류는 ESS 시설 전체를 다시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크다”며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적은 일부 부품 교체 등의 미봉책은 사태를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환 기자/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