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스포츠 칼럼-박영상 한양대 명예교수] 가짜뉴스가 판을 친다
요즈음 가짜뉴스(fake news)가 핫이슈이다. 규제해야 한다, 안 된다로 나뉘어 논쟁이 뜨겁다. 뉴스는 검증된 사실만으로 사안을 재구성하여 전달하거나 설명하는 것쯤으로 간추릴 수 있다. 뉴스의 생명은 사실성(진실성)에 있고 사실이 아니라면 그건 뉴스가 아니다. 따라서 가짜뉴스란 말은 틀린 표현이다.

어찌되었건 뜬금없는 뉴스(?)들이 sns를 비롯한 여러 매체를 통하여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산 소고기를 먹으면 뇌에 구멍이 뚫린다는 얘기부터 최근 쌀값이 오른 것은 북한에 쌀을 퍼주었기 때문이라는 등 이루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이로 인해 우리가 치러야 할 사회 비용은 계산이 안 설 정도이다.

저널리즘은 뉴스를 사실/진실에 입각한 보도로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를 어기면 뉴스로 취급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뉴스도 사람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될 수 있다. 오보(誤報)다. 작게는 오자나 탈자부터 편향(slant), 왜곡(distortion) 그리고 오도(misleading) 모두를 아울러서 오보라고 말한다. 이 경우 최적의 사실을 알리려는 과정에서 생긴 실수이기 때문에 사과나 해명 또는 배상으로 오보를 처리하는 것이 관행이다.

요즈음 골치 덩어리로 등장한 소위 ‘가짜 뉴스’는 단순 오보와는 판이하다. 의도나 이익을 겨냥하여 사안을 부풀리거나 뒤틀어 엉뚱한 것을 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에선 이를 ‘허위정보(disinformation/misinformation)’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은 선량한 수용자들을 위험한 콘텐츠로부터 보호하고 자칫 왜곡될 수 있는 표현의 자유를 제대로 지키기 위해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동시에 이런 현상이 빚어지게 된 원인을 나락으로 떨어진 기존 매체의 신뢰도나 바뀐 미디어 환경이라고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수립하고 궁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묘방이 나오질 않고 있고 대증적인 처방만 요란하다. 모두가 허위정보의 유통이 가져 올 폐해에 대해선 공감하지만 속 시원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이 무거운 숙제이다.

독재국가처럼 모조리 체포하거나 관련매체를 없애버리면 끝날지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자유민주 국가의 해결 방법은 아니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으뜸 가치는 표현의 자유이기 때문이다. 거짓 정보라도 시장에서 판단케 하라는 것이 언론자유사상의 기본이다.

체질이 약하면 질병에 쉽게 걸린다. 체질을 강하게 만드는 것이 의학적 처치보다 더 효과적이다. 마찬가지로 미디어의 체질을 강하게 만들려는 노력이 시작이 될 것이다. 올바른 뉴스/정보를 전달하여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먼저이다. 팩트체크를 통하여 진위를 가리는 일은 단기적인 처방이 될 수 있다. 플랫폼에 대한 규제나 미디어 교육은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바뀐 미디어 환경을 과감하게 수용하고 이를 슬기롭게 이용하려는 적극적인 태도가 먼저라는 생각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