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글이 15세기에 탄생한 과학적 이유?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훈민정음 해례본’

동아시아 문자사의 흐름, 정치사회적 변동 속에서 탄생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한글은 세종대왕이 눈병을 앓아가며 연구한 끝에 만든 독창적인 글자로 여기지만, 15세기 보편적 사상인 성리학의 사유의 틀내에서 만든 것이란 사실은 학계 공통된 의견이다. 오행원리와 천지인의 모양을 본떠 만든 자음·모음을 음절단위로 모아쓰는 서사규범을 채택, 한자와의 조화를 도모했다는 제자원리는 중화문명의 핵심이념인 성리학에 바탕해 창안한 것이란 얘기다.

그렇다면 왜 하필 15세기에 만들어졌을까.

시정곤 카이스트 교수와 최경봉 원광대 교수는 한글을 한국과학문명사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한 ’한글과 과학문명‘(들녘)에서 한글 창제가 중국 대륙과 한반도의 정치, 사회, 문화적 격변기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외적으로 볼 때 중국은 중원에서 북방으로 정치경제적 중심이 이동하는 격변의 시기였다. 원나라가 들어서면서 현재 북경 지역에 수도가 정해졌고,명나라도 남경에서 북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당시 중국 지식인이라도 특별히 음운학에 조예가 깊지 않은 한 표준 한자음을 정확하게 구사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통일된 중국어가 필요했고 ‘홍무정운’의 편찬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조선의 어문정책에도 영향을 미쳐 ‘동국정운’이 나오게 된다. 이와함께 혼란스런 명 정치 내부적 상황으로, 조선에 대한 견제와 압박이 약해진 것도 조선이 자주적 힘을 키울 수 있는 바탕이 됐다. 세종은 북진정책으로 압록강과 두만강까지 영토를 확장하고 사회문화제도를 정비하는 등 자신감이 충만해 있었다. 이런 자신감에 실용주의 정신을 발휘, 한글이라는 독특한 표음문자를 만들어낸 것이다. 한글은 한자문화권의 철학을 바탕으로 창제한 문자이자, 한자와의 조화와 한자문화의 수용을 염두에 둔 문자라는 것이다.

당시 혁신은 보편적 질서이자 과학인 성리학의 사유체계 내에서 우리식의 표준을 만들어내는 작업이었으며, 한글은 그런 연장선상에서 독창성과 우수성이 있다고 본다.

창제 과정에서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문자의 장단점이 수용된 점도 한글의 특성이다. 

한글 창제 당시인 15세기, 중국의 영향권에 있었던 동아시아 지역 국가, 몽고, 서하, 여진, 일본, 서번(티베트) 등은 한자를 쓰는 한편 저마다 민족어를 표기할 수 있는 고유문자가 있었다. 고유문자의 창제는 해당 민족어를 기록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드는 게 목표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표음문자였다. 문자의 표음화는 민족어의 음운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 뿐만 아니라 민족어의 형태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도 필요했다. 언어학에 조예가 깊었던 세종은 이런 주변 문자를 참조, 각 문자의 장단점을 분석, 완벽에 가까운 음소문자를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자와 새로 만든 문자와의 조화였다. 음소문자를 음절단위로 쓰는 서사양식을 채택한 건 한자와의 조화를 염두에 둔 것이란 설명이다.

15세기 조선의 지상과제는 중국처럼 문명국가가 되는 것이었다. 당시 조선을 문명화하는 핵심은 성리학적 통치이념을 백성 모두가 공유하도록 교육하는 일이었고 그 중심에 한글창제가 이뤄졌다.

세종 스스로 창제한 문자를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란 듯의 ‘훈민정음(訓民正音)’으로 명명한 것도 계몽군주 세종이 성리학적 통치이념을 상하 모두와 공유하기 위한 것이란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언문(諺文)’으로 불린 한글은 부녀자나 상민만 썼을까? 두 교수는 피지배계층을 교화시키기 위해 먼저 훈민정음을 배웠음을 강조한다. ‘실록’에 따르면, 세종과 세조 대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려는 사람들은 ‘훈민정음’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유롭게 운용할 줄 알아야 했고,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도 당연히 ‘훈민정음’을 공부해야 했다.’홍무정운‘과 ’동국정운‘은 조선 과거 시험의 과목이었다.

한글의 보급은 지식과 정보가 정차 하층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정보 대중화의 서막을 열게 된다.

그럼에도 “한글의 확산이 중세적 질서에 균열을 내고 근대화를 이루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으며, “실용적인 영역과 하층 문화의 영역에서 활용되고, 시대의 변화를 선도하는 담론의 문자로는 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됐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