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속으로-이민화 KCERN 이사장·KAIST 교수] 대학들이 과연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가
지난달 미국 실리콘밸리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에서 열린 ‘글로벌 리서치 심포지엄’에서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국양 이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삼성전자]
전세계 혁신생태계의 중심에는 대학이 자리하고 있다. 실리콘밸리는 스탠퍼드, 보스톤 생태계는 MIT를 중심으로 형성됐다.

대학의 기술이 기업가정신과 만나 혁신성장을 이룩한 실적을 보자. MIT와 스탠퍼드 졸업생 창업기업의 총 매출액은 각각 1조9000억달러와 2조7000억달러로 한국 전체의 140%와 180%에 달한다.

그런데 한국의 대학 주변에 벤처 생태계는 없다. 그리고 구로와 판교와 테헤란로 일대 벤처 집적지에도 대학은 없다. 대학과 혁신생태계의 거리만큼 한국의 혁신성장은 어렵다고 볼 수 밖에 없다.

그런데 교육부의 ‘LINC+’ 사업과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선도대학’, ‘창업보육센터’ 사업 등 많은 국책사업들이 대학을 지원했다. 하지만 최근 조사에 의하면 혁신의 기여도에서 대학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자원 투입에 비해 저조한 대학의 혁신을 혁신하는 대안을 찾아야 할 때라는 결론에 다다른다.

혁신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단연 ‘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은 기회를 포착해 도전하는 혁신의 리더십이다. 기회를 제공하고 정직한 실패를 지원하면 기업가정신을 자라난다. 그런데 우리는 기회가 아니라 지원을 하고 실패 지원이 아니라 징벌을 하고 있다.

결국 청년들은 불확실한 혁신창업보다 안정된 공무원을 지망하게 됐다. 그렇다면 소는 누가 키울 것인가? 기업가정신에 기반해 대학을 구조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귀결된다.

대학은 교육과 연구와 산학협력이라는 세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이 세가지 목표는 기업가정신을 통해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서 호혜적인 관계로 전환된다. 4차 산업혁명에서 반복되는 콘텐츠교육은 인공지능에 역할을 넘길 수 밖에 없다. 미래의 협력과 창조의 컨텍스트교육은 사회와 연결되는 사회문제 해결형 프로젝트교육으로 가능해진다.

산학협력 교수들의 역할은 현장과 대학을 연결하는 데 있어야 한다. 교육부가 지원하는 LINC+ 대학들에는 패밀리기업이라는 협력기업들이 있다. 이들 기업의 문제를 산학협력에서 발굴하고 대학 교육에서 팀프로젝트로 풀면 산학협력과 교육은 융합된다.

산학협력을 위해 산업체와 기업체가 공동으로 작은 팀을 만드는 ‘U-I Duo(university-industry duo)’라는 작은 오솔길을 만들어 보자. 현재의 대부분의 대학에는 현장을 아는 교육역량이 태부족임을 인정하고 산업계 전문가를 겸직교수로 무보수 활용하자. 이들이 팀으로 대학교육에 임하면 실질적인 문제를 푸는 기업가정신 기반의 창조와 협력의 팀프로젝트 교육이 가능해질 것이다.

현장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대학의 창조적인 연구주제가 도출될 수 있다. 특히, 특허청의 ‘특허중심 연구(IP-R&D)’는 적은 예산으로 중소벤처와 대학을 연결하는 적절한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

문제는 많은 사회문제 해결에는 다학제간의 연구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대학의 현장에서는 옆의 연구실이 무엇을 하는지도 대부분 모르고 있다. 대안은 ‘대학의 가상화(virtual university)’다. 각 연구실의 연구내용을 온라인에서 공유하면 협력비용은 대폭 절감될 것이다. 호주의 ‘넥타(Nectar)’라는 실증 성공사례를 눈여겨 보라.

기업가정신 대학으로 진화하기 위해 대학의 자율성은 절대적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통제와 보호는 자율과 경쟁으로 전환돼야 한다. 그리고 대학 내부행정도 자율과 경쟁 체제로 분권화돼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일부 부작용은 학습비용으로 수용하는 아량이 필요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