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화도 흥왕리 별궁서 고려 유적 발굴
강화 고려 별궁 위치

기록만 있던 고려 이궁지 존재 공식 확인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그간 제대로 발굴되고 알려지지 못한 고려가 건국 1100주년을 맞은 올해 다양하게 조명되는 가운데, 강화 흥왕리 고려 별궁에서 다양한 유적이 확인돼 관심을 모은다.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규훈)는 ‘강화 고려도성 학술조사연구’의 일환으로 지난 9월부터 추진 중인 강화 흥왕리 이궁터 발굴조사에서 고려 시대 건물지와 배수로, 석축 등의 시설물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이궁(離宮)은 도읍 내부에 있는 왕궁 외에 밖에서 머물던 별궁을 뜻한다.

강화 흥왕리 이궁은 고종 46년(1259) 산에 궁궐을 지으면 국가의 기업(基業)을 연장할 수 있다는 비서성 관리 교서랑(校書郎)의 진언에 따라 강화도 마니산 남쪽에 건립된 곳이다. 2000년 선문대 고고연구소에 의해 한 차례 지표조사를 진행하여 축대와 건물지의 존재가 확인된 바 있다.

주지하다시피 강화는 전란의 위기 속에서 39년간 고려의 도읍지 역할을 했다.

흥왕리 이궁지 배치

이번 조사는 흥왕리 이궁터의 첫 번째 학술발굴조사로서, 지표조사에서 확인된 바 있는 건물지의 동쪽 평탄대지를 대상으로 진행됐고, 조사 지역의 남쪽과 북쪽에 각각 시기를 달리하는 시설물이 조성되었음이 확인됐다.

조사 지역의 남쪽에는 13세기로 추정되는 시설물들이 분포하는데, 동서방향의 석축(동서석축1)을 쌓아 한 단 가량 높은 공간을 조성하고 그 안쪽에 건물지(건물지1)와 배수로, 남북방향의 석축(남북석축1)을 평행하게 배치했다.

건물지의 북쪽에서는 건물지 윗면에 동서방향의 석축(동서석축2)과 담장이 중복으로 조성되기도 하였다. 한편, 조사 지역의 북쪽에서는 고려 말~조선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지 2기(건물지2·3)와 배수로가 확인됐다.

흥왕리 이궁지에서 출토된 유물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시설물은 이궁의 중심권역은 아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록으로만 전하던 이궁의 존재를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13세기 이궁의 건립 이후 여말선초까지 그 구조와 배치, 성격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학술 가치가 크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