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협력·위성발사…2018 과학기술 빛내다
2018 과학기술계의 명암
남북 훈풍…기술협력 토대 마련 쾌거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등 발사 성공
질량·전류·온도 등 측정단위 재정의

前 정권 기관장 대폭 물갈이 논란
라돈 침대·베개 방사능 공포 확산
기초과학 외면…노벨과학상 또 탈락


올해 국내과학기술계에서는 남북한 과학기술협력, 정부의 과기계 기관장 물갈이 시도 논란, 한국형발사체 시험 및 위성발사 성공 등이 크게 주목을 받았다. 사진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한 연구자가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헤럴드경제DB]

올해 국내 과학기술계는 어느 때보다 굵직하고 중요한 이슈들로 뜨거운 한 해를 보냈다.

남북정상회담 계기로 불어온 남북과학기술협력, 정부의 과학기술계 기관장 물갈이 시도 논란, 라돈 침대로 촉발된 방사능 공포 확산, 위성 및 시험발사체 발사 성공, 올해도 반복된 노벨상 수상 실패, kgㆍ온도 등 4개 측정단위 재정의 등이 올해 국내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다.

남북과학기술 협력 토대 마련=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계기로 남북 평화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남북과학기술협력 기반이 마련된 것은 과학기술계 큰 획을 그은 쾌거로 기록됐다.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은 철도연결과 산림생태계 복원, 천연물 연구,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를 위한 백두산과학기지 설립, 한반도 광물자원 개발 연구 등 여러분야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최현규 통일과학기술연구협의회 회장은 “백두산에는 자철광, 티탄철광 등 광물자원과 650여종의 식물자원이 밀집해 있고 공해가 없어 천연물 연구나 천문관측 등에 유리하다”면서 “남북 상호이익이 될 수 있는 남북과학협력 아이템 도출을 통해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계 기관장 대폭 물갈이 논란=과학계에서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전 정권에서 임명된 과학기술계 기관장들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대거 중도하차하면서 정치와 과학은 분리되야 한다는 비판도 거세게 일었다.

임기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 조무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박태현 한국창의재단 이사장, 성게용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신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손상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총장,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장 등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줄줄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국가 연구비 횡령과 제자 편법채용 의혹을 받고 있는 신성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사상 초유의 직무정지 위기에 내몰린 상태다.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정권에 의한 편 가르기와 줄 세우기를 하는 현실은 과학기술계의 자유로운 연구풍토를 저해하는 적폐 중의 적폐”라며 “과학기술계에 대한 정치권력 개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인사제도의 개편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방사능 공포 확산=대진침대에서 검출된 방사능 라돈을 시작으로 베개, 침구류, 미용 마스크 등으로 확산된 라돈은 전국을 방사능 공포로 몰아넣었다.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천연방사성 원료물질 부적합 사용 및 유통방지 ▷2019년 하반기부터 강화된 생활방사선 안전대책 본격 시행 ▷해외직구제품에 대한 수거체계 구축ㆍ운영 등 ‘생활방사선 제품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각 부처별로 흩어져있는 라돈 관리체계를 통합하는 등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형발사체 시험 및 위성발사 성공=올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시험발사체,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기상관측 위성 천리안2A호 발사가 성공리에 마무리되면서 국내 우주개발의 새 이정표가 세워졌다.

유명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장은 “이번 한국형발사체 시험발사와 천리안 위성 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은 향후 국내 달 탐사 개발에 녹아들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올해 노벨과학상에서도 우리나라는 빈손을 면치 못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서는 기초과학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장기적 안목으로 안정적인 연구 지원 풍토 조성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일상생활 속 단위기준인 질량(kg), 전류, 온도, 물질량에 대한 측정단위가 130년만에 새롭게 정의됐다. 국제단위계 7개 기본단위 중 4개의 정의가 한꺼번에 바뀐 것은 단위 역사상 최초의 사례였다. 

구본혁 기자/nbgkoo@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