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김원석 농협경제지주 농업경제대표이사]‘우리농산물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대부분의 상품은 만들어서 파는 사람이 가격을 결정한다. 물 한 병의 가격이 그렇고, 휴대폰의 가격이 그렇다. 이러한 가격에는 원가와 이윤은 물론 기회비용 등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이에 반해 농산물은 대부분 판매하는 유통주체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 물론 규모화 된 산지의 경우 가격주도력을 생산자단체가 일부 가질 수도 있으며 로컬푸드직매장처럼 농업인이 가격을 결정하는 행복한 장터도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농업인은 농사를 짓기 위해 필요한 영농자재 가격은 달라는 대로 주어야하고, 농산물의 가격은 주는 대로 받아야하는 분들이다. 농산물유통의 구조적 문제는 이윤은 고사하고 생산비조차 회수하지 못하게 하여 농업인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우리 농업인이 생산한 농산물을 잘 판매해서 합리적인 소득으로 돌려드리는 일이 필자가 가지는 가장 무거운 책무라 생각한다. 농업인이 곧 농협의 존재 이유이기 때문이다.

2017년 연초, 적정생산량보다 28% 초과 생산된 풋고추의 가격이 전년대비 무려 67%나 폭락해 660억원의 농가소득이 사라지는 사태가 발생했었다. 안타깝게도 농가들의 이 엄청난 고통은 더욱 심해지는 기후변화와 맞물려 반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농협이 정부와 함께 ‘농산물 제값받기’에 나선 이유이다.

농산물 가격은 농업인에게 매우 중요하다. 농산물 가격이 유통환경에 따라 불안정하면 지속적인 영농이 어려워지고, 안전한 먹거리를 조달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진다. ‘농산물 제값받기’는 단지 농가소득의 문제만이 아니라 곡물자급률 23.8%(2016년 기준)로 OECD 최하위인 우리 여건상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국가가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과제라 생각한다.

농산물 가격은 농업인의 삶 자체에 대한 평가다. 생산에서 판매까지의 모든 결정과 실행의 결과에 대한 평가이고 이는 곧 소득이 된다. 그러니 ‘농산물 제값’이란 영농에 소요된 생산비와 다음해 농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적정이윤이 담긴 가격이어야 한다.

정부와 농협은 농업인의 의사결정 체계를 만들어 생산에서 판매까지 품목별 생산·유통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출하이전 수급안정을 위해 정확한 농업관측과 사전 재배의향 조사로 적정재배 면적을 유도하고 그럼에도 생산이 과잉되면 수출, 가공, 폐기로 시장격리를 추진한다. 향후에도 농협은 정부와 함께 체계적 수급안정과 통합마케팅을 통해 우리 농업인이 ‘농산물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몇 주 후면 우리민족 고유의 명절 설이 다가온다. 이번 설에는 농업인의 소중한 땀이 담긴 농산물을 선물하여 정겨운 마음을 전해보면 어떨까. 누구나 마음에는 농촌의 모습을 하고 있는 고향을 하나쯤 품고 있을 것이다. 그 고향 어디에선가 지금도 자신의 삶을 바쳐 국민의 먹거리를 생산하며, 농촌을 아름다운 국가 정원으로 가꾸고 있는 농업인들께 ‘농산물 제값’이라는 따뜻한 선물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