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언주 “바른미래가 진보? 국민입장에선 코미디죠”
“통합정신 중도보수 존중해야
보수, 이승만정신으로 통합을”



“바른미래당이 진보? 국민 입장에선 코미디죠.”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지난 18일 만난 이언주<사진> 바른미래당 의원은 “바른미래의 초기 통합 정신인 중도 보수를 존중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보수ㆍ진보가 섞인 중도를 표방하는 같은 당의 손학규 대표, 진보정당에 속하는 민주평화당과 연대 뜻을 밝힌 박주선ㆍ김동철 의원에게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최근 창당 1주년을 맞은 바른미래는 당 이념에 대한 구성원 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당내 ‘진보 포용론자’들을 작심 비판했다. 그는 손 대표 등 바른미래로 늦게 들어온 이들을 겨냥한 듯 “추후 합류한 인사들이 주가 되고, 초기 인사들이 들러리가 되면 안된다”며 “(통합 정신에)합의하지 않았으면 왜 합류를 했느냐”고 했다. 그는 최근 당 연찬회에서도 “창당 선언을 다 하고, 교섭을 다 하고난 후 뒤늦게 참여한 분들이 있다”며 “이제 와서 다른 말을 하면 곤란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애초 이 같은 갈등을 예견했다고 했다. 바른미래 창립 인사인 그는 “인사들이 속속 들어오는 동안 (통합 정신에 대한)공감 강도가 서서히 다른 게 감지됐다”며 “특히 가장 마지막에 합류한 국민의당계 인사들은 끝까지 통합에 반대했다”고 했다. 그때부터 노선 논쟁을 예측한 이 의원은 당시 안철수 당 서울시장 후보에게 염려 뜻을 보였단다. 그는 “안 후보에게 이렇게 당은 운영하면 안된다고 수차례 말했다”며 “무책임하게 사퇴하지 말라고도 할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당 내 보수ㆍ진보를 아우르는 중도론자들이 표방하는 가치도 선명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이 받겠다는 진보의 개념이 불명확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진보란 북한 추종으로 읽힐 때가 많다”며 “어떤 면이 (본인들이 보는)진보인지 알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또 “경우에 따라선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강도높은 개혁을 요구하는 나도 진보론자가 되지 않느냐”며 “진보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웃긴 이야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국민 표심을 얻는 데도 진보를 포용하는 중도보다 보수가 더 낫다고 피력했다. “지금은 옛 보수세력이 실패한 탓에 보수 자체가 하한가를 치는데, 보수의 가치는 하한가가 아니다”고 말한 그는 “국민 대다수는 보수가 표방하는 자유와 실력주의에 공감하는 한편, 사회주의와 계급혁명에는 공감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에서 이 의원은 ‘보수의 여전사’로 불린다. 진보를 표방하는 정부여당의 행보 중 자신의 철학과 맞지 않는 게 있다면 무차별 폭격을 가하는 데 기인한다. 특히 각종 발언대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마이너스의 손’, ‘문재인 정권의 내로남불은 아예 습관’ 등 웬만한 정치평론가보다 수위 높은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말을 ‘사이다’로 보는 지지층은 유튜브 ‘이언주 TV’로 집결 중이다. 구독자 수는 19일 오전 기준 9만9000여명에 달한다.

이 의원은 보수야당이 정부여당에 맞서 살 길은 자유주의ㆍ시장경제라는 ‘이승만 정신’을 기초로 한 통합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천재’로 규정했다.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은 사회주의 몰락을 미리 보고, 자본주의의 중요성을 예견한 천재”라며 “보수세력은 그가 남긴 투명성ㆍ작은 정부의 가치를 앞세워 뭉쳐야 한다”고 했다. 이 의원이 볼 때 온갖 정부여당발(發) 폭로ㆍ논란에도 판이 뒤집히지 않는 건 보수야당의 분열 때문이다. 그는 “이승만 정신을 공부하면 자유에 대한 감수성도 키울 수 있다”며 “정신무장을 마친 통합 세력이 한 목소리를 낼 때 국민도 결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 저격수’로 알려진 이 의원은 현 정권에 대한 날선 비판도 빼놓지 않았다. 이 의원은 “치솟는 최저임금, 최근 ‘https 차단’ 논란 등 문재인 정권은 자유의지를 억압하는 행보를 유지 중”이라며 “모든 권력을 위임받았다는 생각이 착각, 오만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민은 계급혁명을 하라고 촛불을 든 게 아니다”며 “민노총과 공동정부가 아닐까하는 이 정부의 권력이 계속 유지되면 어디까지 갈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문재인 정권 구성원 중 상당수를 ‘운동권’으로 부르며 “자유주의를 체화한 세력이 등장하면 운동권은 더 이상 필요없다”며 “운동권은 플러스보다 마이너스가 더 큰, 시대적 역할이 끝난 세력이 됐다”고 했다.

이원율ㆍ유오상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