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멈춰버린 ESS…“신산업 기반 무너질까 노심초사”
[헤럴드DB]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 최근 잇따르고 있는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에 대한 원인 조사 결과 발표가 당초 예정된 이달 말에서 5월로 연기되면서 ESS 업체들의 고충이 날로 커지고 있다. 정부의 원인 규명과 안전기준 마련이 미뤄지며 경영상 어려움이 불어나는 업체들에게 ‘길고 잔인한 봄’이 이어지고 있다.

먼처 치른 대금에, 대출 지연 문제까지 겹치면서 ESS를 설치하려다 돌연 발전소를 팔겠다는 사업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작년 5월을 시작으로 한달에 두 번 꼴로 ESS 화재가 이어지자 정부는 지난해 말 다중이용시설의 ESS 가동 중단을 요청하고, 올해 1월말에는 민간사업자에 대해서도 별도의 전용 건물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가동을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ESS 관련 부품 업체부터 설치 전문업체, 또 ESS를 이미 설치했지만 가동하지 못하고 있는 많은 중소업체들까지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신규 사업은 ‘올스톱’인 상태에서 기존 ESS 가동까지 불투명한 상황에 놓이면서 손실 양상도 다양하다.

부품과 설치업체등은 지난 연말부터 매출 자체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상황인데다, 인건비는 고정으로 지출되면서 마이너스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미수금과 재고관련 손실도 수십억원대에 이르는 등 피해가 전방위적이다.

ESS 부품 개발ㆍ제조업체 관계자는 “작년 기준으로 올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미리 인력을 20% 이상 늘렸는데, 작년말부터 사업이 올스톱돼 인력은 대기 상태고 재고는 쌓여있는 답답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다음달, 그 다음달 하며 달래고 있는데 희망고문이 따로 없다”고 토로했다.

국가적으로 키워 온 ESS 산업이 꺾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원인 규명이 늦어지고 안전기준 수립이 되지 않아 ESS의 이미지 추락과 고객 이탈 가능성이 커지고 산업을 지탱해오던 부품사 등 중소업체들이 못 버티고 도산하게 되면 산업 자체가 휘청할 것이란 지적이다.

한 설치업체 관계자는 “5월에 화재 원인 규명 결과가 나오고 안전기준 수립이 그때서야 진행된다해도 올해 장사는 글렀다”며 “올해 하반기 사업이 재개되더라고 작년말부터 대기중이던 것부터 먼저 풀릴텐데, 사실상 올해 발생하는 사업은 없는 걸로 봐야 한다”고 전했다.

또 대다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ESS를 설치할 때 선택하는 방법인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도 안전 문제로 보험 가입이 막히면서 ‘ESS 체인’자체가 올스톱된 상황이다. 심하게는 배터리 등 설치 원가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부품을 선구매하고도, 보험 가입에 막혀 대출을 받지 못해 앞뒤가 꽉 막혀버린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여기에 대출로 비용을 조달해 설치했던 ESS가 가동중단되면서 기대했던 전기 절약 수익은 발생하지 않고, 매달 이자 비용만 불어나는 상황도 큰 골칫거리다.

한 관련업계 종사자는 “ESS를 설치하려던 발전주들과 보험, 파이낸싱의 연결이 다 끊어져버리면서 산업 자체가 위기로 몰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기업은 여신 등으로 버틸 수 있지만 소규모 개인사업자들은 이 상황을 짊어지기 매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방위로 막혀버린 ESS 산업의 불씨라도 남겨놓을 방안을 마련해달라는 게 업체들의 공통적인 목소리다.

한 부품제조업체 영업팀 관계자는 “지금까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소용량 ESS부터 가동을 재개하도록 하거나, 인재 관련 이슈가 없는 사업장은 가동을 단계적으로 허용하는 등 조치가 있어야 그나마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