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합] 南北 상시소통채널 단절…北 연락사무소 일방 철수

-靑 NSC 상임위 개최 관련 대책 논의

-北 “南 인원 잔류는 상관하지 않겠다”

-南 “예단하지 않고 상황 지켜보겠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22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인원을 일방적으로 철수함에 따라 남북이 분단 이후 처음 설치한 365일 24시간 상시소통채널이 단절됐다. 청와대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북측은 오늘 오전 연락사무소 남북 연락대표 간 접촉을 통해 ‘북측 연락사무소는 상부의 지시에 따라 철수한다’는 입장을 우리측에 통보하고 연락사무소에서 철수했다”고 밝혔다. 다만 북한은 연락사무소에서 자신들의 인원을 철수하면서도 우리 측 인원의 잔류는 허용했다. 통일부는 “북측은 ‘남측 사무소의 잔류는 상관하지 않겠다’면서 ‘실무적 문제는 차후에 통지하겠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9시15분께 ‘전달사안이 있다’며 통상적인 연락대표 접촉을 요청하고 이 자리에서 이 같은 입장을 통보한 뒤 곧바로 인원 전원이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측 인원들은 간단한 서류만 챙기고 장비나 시설 등은 갖고 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통보와 철수는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천해성 통일부차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오늘 아침 출경할 때 별다른 특이상황은 없었다”며 “오늘뿐 아니라 이번주 근무하는 중에도 어떤 분위기나 징후를 느낄만한 특이동향은 없었다”고 말했다.

북한의 연락사무소 철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의중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개성 연락사무소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작년 4월27일 남북정상회담 판문점선언을 통해 합의한 사안인데다 북한은 이날 철수를 통보하면서 ‘상부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천 차관은 “합의 파기라고까지 생각하고 있지는 않다”며 “연락사무소 채널 외에 군통신 채널 등이 현재 정상가동되고 있고, 또 어떤 상황인지 조금 더 시간을 두고 파악하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지금 상황에서 예단하거나 먼저 판단하기보다 조금 더 지켜보면서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선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관계가 냉각기에 접어들고 미국의 대북압박 수위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남북관계를 놓고도 모종의 결단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일단 정부는 우리측 인원의 연락사무소 정상근무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천 차관은 주말동안 25명의 우리측 인원이 연락사무소에서 근무한다면서 “북측 인원은 철수했지만 연락사무소 취지에 맞게 우리측 사무소는 계속 근무할 생각”이라며 “월요일 출ㆍ입경은 평소와 같이 진행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월요일 출경해서 근무하는데 차질이 없기를 바라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북한의 일방 철수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명했다. 통일부는 “정부는 북측의 이번 철수 결정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북측이 조속히 복귀해 남북간 합의대로 공동연락사무소가 정상운영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천 차관은 “북측이 이렇게 철수한 데 대해 굉장히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기본적으로 북측이 조속히 복귀해 연락사무소가 정상운영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거듭 촉구했다. 청와대는 정 실장 주재 NSC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상임위원들이 연락사무소 북측 철수 상황에 대해 협의하고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연락사무소에서 일방 철수함에 따라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비롯한 남북 간 협력사업에도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와 관련, 천 차관은 “현실적으로는 북측 인원들이 철수했기 때문에 이산가족 화상상봉 등 이런 부분들에 대한 구체적 협의가 조금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며 “우선 연락사무소가 조기 정상화 돼야 하고, 또 너무 늦어지지 않고 협의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남북은 작년 4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판문점선언에서 공동연락사무소 설치에 합의한 뒤 같은해 9월 개성공단 내에서 연락사무소 청사 개소식을 가졌다. 이 과정에서 연락사무소 개소와 운영을 위한 유류를 비롯한 물자와 장비, 전력 공급을 둘러싸고 대북제재 위반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이들 물자와 장비 등은 북한 경제에 이익을 주는 것이 아니고 우리측 인원들의 편의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란 논리를 펼쳐왔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