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한계기업비율 사상 최고, 임금인상 요구 자제해야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 비율이 지난해 사상 최대였다는 3일 한은의 발표(2019 외감기업 경영분석)는 기업들의 경영위기가 오래전에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이런 상황에 코로나19라는 초대형 재난이 덮쳤으니 올해 실적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 부채비율은 치솟고 그것도 못 버텨 도산하는 부실기업은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게 분명하다.

한국은행의 ‘경영분석’은 외부감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2만6000개 기업을 조사대상으로 한다.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 거의 모든 회사를 망라한다. 매년 발표되는 분석결과는 그해 한국 기업들의 현주소이자 민낯이다. 2019년도분 조사결과는 “기업의 성장성·수익성·안정성이 모두 악화일로”라는 한마디로 요약된다.

기업의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 2017년 9.9%에서 2018년 4.2%로 반토막 난 데 이어 급기야 지난해에는 -1.0%로 감소세가 됐다. 올라도 모자랄 판에 마이너스가 된 것이다. 특히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은 -2.3%로 급락이다. 수익성도 내리막이긴 마찬가지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018년 6.9%에서 2019년 4.7%로 감소했다. 1억원 어치를 팔아봐야 500만원도 못남긴다는 얘기다. 이러니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충당하지 못하는 이른바 좀비기업의 비중이 지난해 34.1%나 된다. 사상 최대 기록이다. 두 집 건너 한 집씩 좀비기업이란 얘기다.

이유는 간단하고 분명하다. 매출액은 줄어드는데 급여 등 고정비용은 늘어났기 때문이다. 과속 인상에 주휴시간마저 제외된 최저임금과 경직된 주 52시간제 적용으로 인한 비용상승의 영향이다. 지난해 1인당 노동비용 상승이 생산성 증가의 2배나 되니 당연한 결과다.

기업들은 한계상황이다. 임계점에 와 있다. 좀비기업은 이미 생동감 없는 연명기업이다. 비용상승은 인력축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기업중앙회와 경총의 최근 조사결과, 중소기업들은 내년에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신규 채용 축소’(44.0%), ‘감원’(14.8%) 등 고용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엄포가 아니라 현실이다. 고용유지 지원금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무한정의 재원이 있는 것도 아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노동계는 임금인상 요구를 멈추지 않고 있다. 10%를 넘는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산별노조가 한둘이 아니다. 심지어 “코로나발 경제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임금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적반하장식 주장까지 한다.

노동계의 임금인상 요구는 자제되어야 한다. 기업을 위해서가 아니다. 노동자 자신을 위해 그래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