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경쟁력 없는 대학 무더기 도태 예고한 수능지원 현황

큰 폭으로 줄어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 현황이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12월 3일 치러지는 수능 원서를 접수한 결과, 지원자는 전년도(54만8734명)보다 5만5301명 감소한 49만343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수능 지원자가 50만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1994년 수능 제도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수능지원자는 2000년 최고 90만명 선까지 육박했다. 20년새 절반가량 줄어든 셈이다. 특히 고3 재학생 지원자 수가 2019학년도 44만8111명에서 2021학년도 34만6673명으로 최근 2년 사이 10만명 이상 줄었다. 지원자 감소 폭이 10%를 넘어선 것도 전에 없던 일이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학령 인구가 감소 속도가 예상보다 가팔라지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대학 정원보다 수험생이 더 적은 대입 역전 현상이다. 전문대를 포함한 내년도 대학 모집 인원은 특별전형을 포함해 55만5774명이라고 한다. 단순 비교만 해도 정원보다 지원자가 6만명이 적다. 그런데 통상 수능 결시율이 10% 정도라고 하니 이를 감안하면 미달 폭은 훨씬 커진다.

지난해에도 수능 지원자가 대입 정원에 미치지 못하기는 했지만 그 수는 극히 미미했다. 하지만 이제는 무더기 미달 사태가 본격화 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더욱이 코로나 사태로 외국인 유학생 수가 크게 줄었다. 여기에 미달사태까지 겹치면 지방 소규모 대학은 생존조차 버거워질 게 뻔하다.

대입 정원 미달 사태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학령 전 인구는 점차 더 줄어들고 대학 진학률도 매년 떨어지고 있다. ‘벚꽃 피는 순으로 대학이 망할 것’이란 얘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지방 대학은 장학금을 확대하고 시설을 개보수하는 등 신입생 유치에 골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정도로 버텨내기에는 상황이 너무 심각하다. 대학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생존의 길이 열린다.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대학 구조조정을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대학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그 시설을 전문 직업 훈련장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집중 강구해야 한다. 살아남는 대학도 안심할 처지는 아니다. 더욱이 코로나 사태는 대학의 위기를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이 일반화되면서 교육의 질에 대한 편차는 더 확연해졌다고 한다. 온라인 인프라 강화가 향후 대학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대학은 언제든 도태될 수 있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