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도종가] 함허정에 깃든 기품과 낭만, 청송심씨 제호정종가
3대 연속 재상 배출, 왕실과 혼맥
안빈낙도 하다가 누란땐 의병 일으켜
행랑채였던 초당에서 종부가 사는 겸손함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곡성군 입면 동악산이 호위 속에 섬진강이 크게 휘돌아가는 곳에 제월습지가 있고, 섬진강, 제월습지, 반달 혹은 돌고래 모양의 제월섬이 한눈에 보이는 곳에 함허정(涵虛亭)이 우뚝 서 있다.

함허정

은둔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제호정 심광형(1510~1550)이 1543년 벼슬자리를 마다한 채, 그림같은 풍경 속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학자들과 세상 이치를 논하려고 지은 누정이다.

이곳 풍경과 심광형 선생의 도학 수준이 남달라, 입소문이 나면서 선비들이 모여들었다. 율곡 이이도 들렀다고 전해진다. 누각 내부에 글을 적은 편액이 빼곡한 것에서 학문, 시문 교류가 활발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곡성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제호정종가 구암사. 심선 심광형 심민겸 심민각 4현의 일대기를 기록한 사현실기가 있다. [남도일보 제공]

정자인데도 삼면이 트인 마루 1칸 외에, 방 2칸 반이 있는 것은 멀리서 온 선비들 묵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함허정에서 내려다 보이는 제월습지 백사장에서는 신임 옥과 현감이 지역 유지들을 불러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향음례가 진행됐다고 한다.

후학들을 위한 정규 강의는 인근 군지촌정사에서 이뤄졌다. 이젠 서당도 국가지정 보물이 되는 상황에서 함허정과 군지촌정사의 재평가도 기대된다. 사실, 제월습지와 제월섬도 조금만 단장하면 명승 감이다.

군지촌정사 [곡성군청 제공]

함허정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제호정고택과 함께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제호정종가가 15대를 지켜온 보물이다. 심광형은 관찰사의 천거로 광양·곡성·남평·순창의 중학훈도(교관)를 역임한 뒤, 군지촌정사 학당을 열어 운영하다가 만년에 함허정 정자를 건립했다. 제호정 심광형은 고려 충렬왕때 문신으로 청송심씨 가문을 연 심홍부의 10세손이다.

4세 심덕부가 고려 말 왜구를 토벌한 공으로 문하찬성사, 청성부원군에 봉해졌으고, 조선 개국에 참여해 공신 1등과 함께 좌의정에 올랐다.

곡성 청송심씨 인수부윤공파 제호정종가 객을 맞는 종부. [남도일보 제공]

심덕부의 일곱 아들 중 다섯째 아들 심온(1375~1419)은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의 부친으로 국구(왕의 장인)가 되고 영의정에 올라 청송심씨 안효공파를 열었다. 심온의 아들 심회(1418~1493)까지 영의정에 올라 3대 연속 재상을 배출한다. 심덕부의 여섯째 심종(?~1418)은 태조의 차녀인 경선공주와 혼인한 부마로서 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청원군에 봉해졌다.

형 심덕부에 비해, 동생 악은 심원부는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 농은 민안부와 함께 고려5은으로 불리는 고려충신으로 조선을 거부하고 두문동에 은거했으며, 장성 경현사에 배향됐다.

심덕부의 넷째 아들인 5세 심징(?~1432)은 문과제 급제하고 인수부윤을 역임해 인수부윤공파를 열었고 10세인 함허정 주인 심광형이 인수부윤공파 제호정 종가를 개창한 것이다.

함허정에는 방도 2칸이나 있다. [곡성군청 제공]

심광형의 손자인 12세 심민겸은 임진왜란, 정유재란에 의병군에 군량을 조달했고, 심민겸의 조카인 13세 심민각은 병자호란때 의병을 일으켜 호서지방을 지켰다. 벼슬에 나가지 않고 후학양성에 매진한 학자로서 구암사에 제향됐다.

구암사는 망세정 심선, 제호정 심광형, 두암 심민겸 등 청송심씨 4인의 현자를 추모하는 곳이다.제호정이 후학을 양성하던 군지촌에 구암사가 있다. 구암은 함허정 절벽 아래 거북바위에서 유래했다.

지금은 사랑채로 불리는 학당 ‘군지촌정사’는 무등산(옛 서석산)을 바라보는 곳이라 하여 ‘망서재’라고도 칭했다. 행랑채는 최근 초가로 복원했고 종부가 생활하고 있다. 남도종가의 겸허함이 느껴진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