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비즈] 도시재생 뉴딜사업, 물이 도와줄 수 있을까

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에는 다양한 환경 문제가 나타난다. 녹지 부족, 도시 홍수, 폭염, 미세먼지 등이다. 도시 환경 문제의 원인은 간단하다. 도시화로 인해 녹지가 줄어들고 포장된 도로와 건축물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도로에 의해 유출량이 늘어나고 건축물에 의해 열 축적이 많아짐으로써, 비가 올 때는 홍수가 일어나고 비가 그치면 폭염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환경 문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역별로 정도의 차이가 있다. 최근 조성된 신규 도시 지역에 비해 기존 쇠퇴한 구도심 지역이 홍수, 폭염 등의 환경 문제에 자주 노출되고 그 피해도 크다. 도시 환경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도시 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이행 불가능하므로 현재의 도시 형태를 유지하면서 환경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도시 환경 문제의 일차적 원인은 왜곡된 물순환에 있다. 유출량이 증가해 홍수가 발생하고, 머금고 있는 물이 부족해 폭염과 미세먼지 발생이 빈번해진다. 결국은 에너지 과다 사용을 야기해 탄소 배출을 증가시키고 지구온난화까지 이어지게 한다.

도시가 빗물을 머금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해 유출량을 줄임과 동시에 지하수가 함양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비가 올 때는 홍수 피해를 줄여줄 수 있고 건기에는 하천의 유지용수 확보뿐만 아니라 증발산에 의한 온도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물순환 체계를 잘 관리하면 홍수 피해를 줄이는 치수(治水)에 그치지 않고 물을 이용하는 이수(利水)의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실개울 등 물을 이용한 친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안동시 문화의거리와 포항시 중앙상가는 실개울을 조성해 기존 상권을 재활성화시킨 사례로, 친수 공간이 지역상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준 셈이다.

도시가 빗물을 머금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도입되는 주차장, 도로, 커뮤니티센터 등의 주요 시설에 적용함으로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 대상지에 도로와 주차장을 확충할 때 기존 방식과는 달리 빗물을 침투시키고 저류할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면 단순히 도로만 확충하는 것이 아니라 침수와 폭염의 환경 문제까지 저감할 수 있다. 도시의 대표적인 불투수면인 도로와 주차장에 식생을 조성하면 식물의 증발산으로 온도 저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광합성에 의해 온실가스 흡수도 가능하다. 결국 도시 전체의 에너지효율을 증가시켜 기후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해준다.

도시의 빗물관리 관련산업은 대부분 제조업과 건설업 분야로 취업의 진입장벽이 낮고 취업유발계수가 크기 때문에 정부가 목표하는 일자리 창출과도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물과 녹지를 이용해 조성된 공간은 주민 커뮤니티공간이 될 수도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의욕 있게 출발했던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제도의 한계 등으로 인해 애초 기대했던 것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간 사업 추진에 부담으로 여겨 미처 고려하지 않았던 환경성을 포함하는 역발상으로 사업 추진의 반전이 있기를 기대해본다.

최종수 LH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위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