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 “한국, 로봇의 일자리 위협 가장 심해”…임금·고용 증가율↓
밀집도 증가 세계 1위
고부가 일자리 늘려야
한국은행 분석 보고서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우리나라 경제의 산업로봇 적용률이 주요국 가운데 가장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고 한국은행이 분석했다. 생산성에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임금과 고용증가율에는 부정적 영향이다. 코로나19로 기업들의 로봇 활용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로봇이 대체할 수 없는 고부가 일자리를 더 만들 필요가 있다고 한은은 결론 내렸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산업용 로봇 보급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산업용 로봇 운용 대수는 2000년 3만8000대에서 2018년 약 8배인 30만대(국제로봇연맹 기준)로 늘었다. 판매 대수도 5000만대에서 약 7배인 3만8000대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세계 전체 산업용 로봇의 운용 대수와 판매 대수가 각 3.2배(75만대→243만9000대), 4.3배(9만9000대→42만2000대) 불어난 것과 비교해 눈에 띄게 빠른 속도다.

2000∼2007년 연평균 1.26대 수준이던 한국의 로봇 밀집도(제조업 종사자 1000명당 로봇 운용 대수) 역시 2010∼2018년 연평균 5.28대로 뛰었다. 같은 기간 일본(0.07→0.12), 미국(0.9→0.93), 독일(1.09→0.89), 대만(0.68→1.5) 등보다 증가 폭이 컸다.

한은은 이처럼 우리나라의 산업용 로봇 보급이 빠른 것은 세계 로봇 가격이 2009∼2018년 38.6%나 떨어진데다 우리나라 산업에서 전기·전자·화학·운송장비 등 로봇 활용도가 높은 업종들의 비중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국내 산업별 '로봇 침투도'를 추산한 결과, 특히 자동차·전자부품·컴퓨터 업종에서 로봇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봇 침투도는 실제 1000명당 로봇 보급 증가 폭과 해당 산업의 부가가치 증가율만큼 로봇 보급이 이뤄졌다고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증가 폭 사이의 격차를 말한다. 로봇 침투도가 0보다 크다면, 결국 해당 산업의 부가가치 성장 속도보다 로봇 보급 속도가 더 빠르다는 뜻이다.

특히 2010∼2018년 자동차 사업의 로봇 침투도는 연평균 6.3단위 증가했다. 2010∼2016년 전자부품·컴퓨터 산업의 로봇침투도 역시 연평균 3.05단위 늘었다.

한은이 로봇 침투도와 종사자 수, 실질임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어떤 산업에서 로봇 침투도가 1단위 증가하면 종사자 수 증가율은 약 0.1%포인트(p), 실질임금 상승률은 약 0.3%포인트 각각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앞으로도 기술 발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등과 함께 로봇의 역할이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일자리를 늘리려면 로봇 보급에 따른 생산성 증대가 업무 창출로 이어지도록 새 고부가가치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부문간 '노동 이동'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