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업 파급효과 큰 미래유망소재 R&D 총력지원”
- 과기부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 개최
- 소재관련 씽크탱크 ‘국가기술전략센터’ 설치·운영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진이 화학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정부가 10년 뒤 과학‧산업적 파급력이 큰 미래유망소재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9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열고 ‘소재 연구개발(R&D) 투자 혁신 전략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소재 R&D 투자 혁신 전략은 소재핵심 원천기술 개발 지원이 핵심이다. 희토류와 같은 전세계적으로 매장량이 극히 적은 희소원소의 공급 부족에 대비해 핵심 전략원소를 선정, 사용량 최소화, 사용대체, 재활용 기술 개발 등을 지원한다.

또 소재의 고유 기능, 물성 등에 기반한 근원적인 연구를 강화해 기존 소재의 물성 한계, 응용 분야를 뛰어넘는 유망 소재 개발에 나선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사회 전반의 변화를 선도할 주요 모빌리티, 디지털 혁신, 에너지 환경, 바이오헬스 등 4대 분야의 한계 돌파형 소재기술 개발을 통해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장기·협업 중심의 연구 생태계 구축도 강화된다. 장기적 연구가 필수적인 신소재 개발을 위해동일 주제로 장기연구가 가능한 갱신형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며, 대학·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을 거점으로 소재 R&D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기업 지원, 인프라 공동 활용 등을 촉진할 계획이다.

소재 연구개발 투자 전략성 강화를 위해 국가 차원의 소재 R&D 투자전략 수립 및 정책제언 등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할 ‘(가칭)국가기술전략센터’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2022년 예산부터 소재 R&D 사업 예산을 배분·조정할 계획이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자립을 넘어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장기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소부장 R&D 성과 창출 기반을 강화하고, 협력‧축적의 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미래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소부장 기술특위가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