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사 딸린 고급차에 내 차 렌털까지…판 키우는 ‘신형 모빌리티’ [IT선빵!]
-제네시스·벤츠 등에 기사 배치한 구독형 서비스
-개인이 유휴 차량으로 렌터카 제공하는 플랫폼
-ICT규제샌드박스 통해 제도적 기반 마련
-타다금지법 이후 위축된 모빌리티 시장 활성화 여부 촉각
개인이 주차장의 유휴 차량을 렌터카로 활용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를 앞두고 있다 [타운즈 제공]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타다 빈자리 ‘제2의 타다’로 채운다”

국내 모빌리티 시장에 신종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등 고급차에 기사가 배치된 모델과 본인 차를 직접 렌터카로 운영하는 플랫폼 등 스타트업들이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지난해 ‘타다금지법’(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 국회 통과로 타다 베이직이 중단되며 국내 모빌리티 시장이 주춤해진 가운데, 신종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반전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레인포컴퍼니는 전통적으로 기업체 대표나 임원 중심의 ‘수행 기사’ 모델에 ICT기술을 적용한 ‘레인4’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평일 출퇴근 시간 기사가 고급 차량으로 태워주고 주말엔 직접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는 구독형 모델을 이달 중 출시한다.

고급 차량을 이용해 월 단위 구독 고객과 일반 고객 대상 유상 여객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앱을 통해 차량을 배정하는 프리미엄 모빌리티 서비스다.

출퇴근 이외 시간 기사가 앱 호출을 받고 일반 승객 대상 운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기사를 배치한 타다 모델에 렌터카와 운송 플랫폼 기능을 합쳤다. 대신 타다 주력 차량이었던 카니발이 아니라 메르세데스-벤츠, BMW, 제네시스 등 고급 모델 위주로 구성했다. 초기 50대로 운영하고 이후 6월까지 100대로 늘릴 계획이다. 시범 서비스 결과 기업체는 제네시스 G80, 전문직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오상 레인포컴퍼니 대표는 “모델과 거리 등에 따라 월 구독료는 120만~200만원으로 책정될 예정”이라며 “벤츠 E-클래스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강남권 이동 시 월 120만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앱 호출 기반 일반 승객 운송 서비스 관련 “카카오 블랙, 모범택시 수준으로 요금이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배치된 고급차 중심의 월 구독형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법인과 전문직 등이 주요 타깃 고객이다 [123rf]

이와 함께 비마이카도 구독형으로 수행 기사를 제공하는 ‘THE CARE’(이하 더 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델은 월 단위로 50시간, 100시간, 150시간, 200시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차량은 제네시스 G90·EQ900, 재규어 XJL, 카니발 하이 리무진, 카니발 일반 등이다. 이용 시간과 차량 모델에 따라 요금은 월 최소 180만원부터 최대 670만원까지 책정될 예정이다.

더 케어의 주요 타깃 고객은 스타트업 또는 IT산업에 종사하는 젊은 CEO 및 임직원이다. 주 52시간 근로 제도로 수행 기사 직접 고용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법인) 대상으로도 마케팅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재 카카오톡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다음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해 사용자환경(UI)을 강화할 예정이다.

타운즈는 개인 차량을 렌터카로 활용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타운카’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이전까지 개인이 직접 렌터카를 제공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타운즈는 최근 ICT규제샌드박스를 통과해 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당근마켓, 에어비앤비처럼 렌터카 공급자와 수요자가 한 플랫폼에서 거래하는 서비스가 출시를 앞두고 있다. [타운즈 제공]

7월 전후 경기도 하남 미사신도시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에어비엔비, 당근마켓 등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급자와 수요자가 한 플랫폼에서 적정 가격을 결정해 거래하는 방식이다. 차량은 하루 단위 기준으로 제공된다. 최윤진 타운즈 대표는 “초단기 전용 보험을 개발하는 막바지 단계로 주차장의 유휴 차량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8일부로 타다금지법이 본격 시행됐다. 운송 플랫폼 사업자 의무 기여금 부담이 크다는 지적과 함께 가맹 택시 시장만 더 커질 것이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모빌리티 업계서는 규제샌드박스 등을 통한 다양한 시도를 지속 유도하고, 정식 서비스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