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통계는 고용호조세, 현실은 대기업 채용 기피

하반기 대기업 공채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대기업 10곳 중 7곳은 올 하반기에 아예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계획을 세우지 못했을 정도다. 정부가 발표하는 각종 고용지표의 호조세, 특히 청년취업의 개선 흐름과 질 좋은 일자리의 현실은 정반대인 셈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채용계획이 있는 곳은 121개 응답 기업 중 32.2%에 불과했다. 절반 이상(54.5%)은 신규 채용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아예 한 명도 뽑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도 13.3%나 됐다.

정부는 대기업들이 수시채용으로 돌아서 정기적인 대규모 공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6월 30대 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CHO)을 만나 수시보다 공개채용으로 청년을 채용해 달라고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코로나19 장기화가 대기업의 채용 의지를 움츠리게 했다고도 분석한다. 그러면서도 청년실업상황이 개선되고 있는 점을 은근히 강조한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통계의 허점이 무수하고 취업의 질도 나빠지고 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청년 실업자 수는 37만명으로, 2016년 42만6000명에 비해 4년 만에 5만6000명이나 줄어들었다. 당연히 청년실업률은 9.8%에서 9.0%로 낮아졌다. 수치상 완연한 개선세는 분명하다. 그런데 이 기간에 청년취업자는 14만5000명이나 감소했다. 실업자 감소의 거의 3배다. 그런데도 아르바이트하면서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는 취업준비생은 2016년 7만6000명에서 2020년 14만9000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이게 청년고용지표의 현실이다.

이유는 기업들의 채용 기피 분위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의 경영 상황은 호전된 지 오래다. 올 들어 월별 수출 실적은 수시로 사상 최대 기록이다. 금융업을 제외한 코스피 상장기업의 올해 상반기 연결 매출액은 17% 이상 늘어나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었고, 영업이익은 2배로, 순이익은 1.5배로 늘어났다. 이쯤 되면 좋은 인재 끌어들이기에 혈안이 돼야 마땅하다. 그래야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 그런데 상황은 정반대다. 대기업, 중견기업 할 것 없이 ‘적재적소 필요인원’만 강조하며 채용 최소화에 주력한다.

바로 고용 부담 때문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등 고용 유연성을 떨어뜨리는 정책들이 기업의 적극적인 고용을 가로막는 첫 번째 장애물이란 얘기다. 통계 홍보나 정시채용 확대 압력보다 현실 인식이 먼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