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 칼럼] 자영업 구애·집값잡기...달라진 정치, 변화된 시장

코스피 종합지수가 3000선 밑으로 내려앉았다. 글로벌 증시 대비 약세가 두드러진 탓에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해석은 분분하다. 치솟는 유가, 약해지는 원화, 수출 제조업의 피크아웃(경기정점) 등 다양한 분석이 쏟아진다. 모두가 타당한 이유들이다. 하지만 이는 현상을 사후적으로 설명하는 데 불과하다. 보다 근본적으로 기저에 깔린 시대 정신의 변화를 읽어낼 지혜가 필요한 때다. 다시 말해 무엇이 시장의 색깔을 바꾸는지에 대한 고민이 절실한 시점이다.

고민의 출발은 코로나19가 바꿔놓은 공동체의 삶이다. 코로나19로 무너진 경기를 뒷받침하고자, 각국의 중앙은행은 무제한 돈풀기에 나섰다. 이후 금융 시장은 빠르게 안정됐지만,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은 자산 시장의 양극화를 낳았다. 천정부지로 뛴 집값과 급격하게 오른 주가가 그렇다. 자산이 돈을 벌어주는 시대에 노동소득에 의존하는 서민의 삶은 극도로 궁핍해졌다.

결국 이런 자산 시장의 팽창이라는 작용은, 이제 반작용을 부른다. 정치 권력이 일제히 가지지 못한 자들을 주시하고 있다. 주요국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증폭 시킨 집값 안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더불어 역대급 저금리와 플랫폼 권력을 토대로 영역 확장에 나선 빅테크(대형정보기술기업) 기업들에 대한 전방위적인 압박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는 국지적인 이슈가 아니다. 서로 총성 없는 무역전쟁을 벌이는 글로벌 G2 미국과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증시를 뒤흔들었던 중국의 대형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대형 부동산 개발기업 헝다 쇼크 또한 이런 흐름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다.

정치 권력의 태세 전환은 코로나19의 피해가 균등하게 벌어지지 않은 데서 출발했다. 앞서 언급한대로 기록적인 저금리는 자산을 사들이는 데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했고, 각국 정부가 살포한 재난지원금은 노트북, 자동차 등과 같은 내구재들의 구매로 이어졌다. 이들을 주력 제품으로 삼는 대기업들은 역대급 실적 전치를 벌였다. 코로나19 재앙의 역설이었다.

반면 대면 소비로 생계를 이어가던 자영업자들은 매출 감소와 늘어나는 부채의 이중고에서 여전히 사투 중이다. 결국 이들 자영업자로 대표되는 코로나19 피해 계층을 돌보는 게 시대의 주류 철학이 되었고, 선거의 표심에 좌우되는 정치 권력은 한 발 빠르게 이런 흐름을 포착해냈다.

한국의 상황 또한 예외가 아니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은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렸고, 금융당국은 연일 대출 규제 목소리를 높인다. 자영업자들과의 공생을 위한 정책이 쏟아지지만, 적어도 주식시장으로만 살펴보자면 대기업 위주로 구성된 국내 증시에 가져올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 연일 질타를 받은 카카오의 사례는 시작에 불과하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정해졌다. 곧 야당의 대선 후보가 정해지며 우리나라는 곧 대선 정국으로 접어든다. 아마 대선을 관통하는 정치 철학은 살펴본대로 코로나19에서 소외된 이들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 매일 열리는 주식시장에서 상승과 하락을 설명하는 뉴스에 매몰되다 보면 이런 큰 흐름을 놓치기 쉽다. 지금은 미시가 아닌 거시를 바라보는 지혜가 필요할 때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