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北 무인항공기 탐지·방공체계 강화 투트랙 대응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정부는 경기도 파주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항공기가 북한제로 잠정 결론남에 따라 대공시스템을 전면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대공시스템 강화는 이번과 같은 무인항공기를 찾아낼 수 있는 저고도 탐지레이더와 타격 가능한 대공화기 도입 등 탐지와 방공체계 강화라는 투트랙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지난 2일 오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열고 북한 무인항공기와 관련해 이 같은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3일 “파주 무인항공기가 국도 1호선을 따라 파주에서 서울, 특히 청와대 상공까지 2시간 동안 유유히 돌아다녔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안”이라며 “국가 대공시스템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필요하다면 새로운 탐지레이더와 방공화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에 따라 청와대 국가안보실, 경호실,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등 유관기관 합동으로 대응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저고도로 침투하는 북한의 무인항공기를 포착하기 위한 저고도탐지레이더 도입 방안이 거론된다.

현재 육군이 저고도 탐지레이더(TPS830K)를 운용하고는 있지만 이번에 발견된 것과 같은 소형 무인항공기는 새떼와 구별이 어려워 제대로 포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이 운용중인 저고도 감시용레이더(갭필러) 역시 산악지대가 많고 접경지역이 긴 한반도 특성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무인항공기가 인공위성위치정보(GPS)를 활용해 사전 입력된 좌표로 자동 비행한다는 점을 감안해 전파를 교란해 강제 착륙시키거나 격추하는 새로운 무기체계 개발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무인항공기 대응의 또 다른 축은 대공화기 도입이다.

정부 소식통은 “백령도 무인항공기의 경우 F-15K와 공중 조기경보통제기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감지되고 해병부대가 벌컨포 300여발을 발사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며 “하지만 무인항공기 비행 고도에 미치지 못해 격추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벌컨포의 최대 사거리는 2㎞에 불과한데 당시 무인기의 고도는 5㎞ 이상이어서 격추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이에 군 당국은 소형비행체 요격이 가능한 국산 30㎜ 자주 대공포인 ‘비호’(K-30)에 단거리 미사일 ‘신궁’을 결합한 유도탄 탑재 복합대공화기를 청와대와 서해 서북도서 등에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북한 무인항공기와 일반 동호인들의 무인항공기를 식별하기 위해 비행체 등록제를 실시하고 무인항공기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등 관련 제도를 손질하는 방안도 고민중이다.

일각에선 국방계획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무인항공기를 비롯해 잠수함을 이용한 기습공격, 사이버테러 등 변칙적인 위협에 대한 대응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