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일대 군사적 긴장 고조의 이면에는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소모 급증으로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중국의 해외 진출과 이를 견제하려는 일본의 견제가 숨어 있다.
지난 5월부터 시사군도(베트남 명 호앙사)에서 벌어진 중국과 베트남 선박 간 충돌과 물대포 발사는 중국이 이 해역에 설치한 석유시추시설을 두고 벌어진 갈등이었다.
중국 해양석유총공사는 지난 5월2일 베트남 연안에서 130해리(240 km) 떨어진 해역에 석유시추 장비를 설치 했는데 베트남 정부가 “ 베트남의 배타적경제수역(EEZ)과 대륙붕에서 이뤄지는 중국의 석유시추는 불법 행위”라고 제동을 걸고 나선 것.
중국 정부는 남중국해 헤이룽장성 다칭유전보다 많은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중국이 이 해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나서면서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는 물론 나아가 미국과 군사적ㆍ정치적 갈등을 빚고 있다.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위치한 동중국해 역시 사우디아라비아의 10배가 넘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간 7~8%의 고속 성장을 하며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중국이 원유 수입량의 80%가 지나가는 말라카 해협의 통제권 확보를 시도하고 에너지원 다변화에 나서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중국은 2003년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산하에 에너지국을 설치하고 2010년에는 범정부적 협의기구인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설립, 에너지 안보 해결에 나섰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해 5월에는 탄자니아, 남아공, 콩고 등 아프리카 국가를, 그해 6월에는 트리니다드토바고, 코스타리카,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를 순방하며 해외 에너지 자원 개발에 공을 들였다. 아프리카의 경우 2000년 ‘중-아프리카 협력포럼’을 만들어 3년 주기로 정상회의를 열고 있다.
정상외교는 사회간접자본을 차관으로 건설해주고 그 대신 유전이나 가스전 등 자원 개발권을 획득하는 ‘패키지 딜’(앙골라 모델)을 통해 에너지 자원을 선점하는데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도 이에 맞서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지난 1월 오만에 이어 코트디부아르, 모잠비크, 에티오피아등 아프리카 3개국을 순방하며 일본기업들의 에너지 자원 개발에 힘을 보탰다.
원호연 기자/why3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