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희망나눔운동>“제 힘으로 우유라도 먹었으면…”
다운증후군 한살배기 새벽이의 안타까운 사연
“아이에게 장애 있습니다”

부모 편지와 함께 버려져…

심장 곳곳 구멍·호흡곤란

3월 큰수술 온정 손길 기대


‘응애, 응애~.’

2010년 4월 15일 새벽 2시. 서울 관악구 난곡동 주택가 골목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들렸다. 장애아동보호단체인 ‘주사랑공동체의집’을 운영하고 있는 이종락(56) 목사와 부인 정병옥(56) 씨는 울음소리에 잠이 깼다. 배꼽에 탯줄을 자른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갓난아기가 골목길 옆에 버려져 있었다. 겨우 숨을 내쉬며 힘겹게 울음을 토해내는 아기. 머리맡에는 부모가 남기고 간 종이 한 장이 놓여 있었다. “아기에게 장애가 있습니다. 제발 찾지 말아 주세요. 아기에게 미안해 충분히 고통받고 있습니다. 용서해주세요.”

아기의 이름은 이새벽. 새벽에 버려져 주사랑공동체에 오게 된 인연으로 이 목사가 지어준 이름이다. 새벽이는 태어날 때부터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다. 다운증후군 환자는 대부분 선천성 심장질환이 있다. 새벽이도 마찬가지다. 심방과 심실의 좌ㆍ우측을 나누는 벽에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다. 또 대동맥 판막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호흡 곤란 등을 유발하는 ‘대동맥판막협착증’도 앓고 있다. 

심장이 약한 탓에 새벽이는 숨을 내쉬는 것조차 힘겹다. 스스로 우유병을 빨기 어려워 우유를 마시는 속도도 느리고, 양도 적다. 손과 무릎을 이용해 한창 기어 다닐 때지만 새벽이는 혼자 힘으로 몸을 돌려 옆으로 눕기만 해도 지친다. 새벽이가 조금이라도 고통을 덜기 위해선 심장수술을 꼭 받아야 한다. 이 목사는 지난해 12월 서울대병원에 새벽이를 입원시켰다. 하지만 2주 전 수술을 받지 못한 채 퇴원했다. 폐렴이 완치되지 않으면 심장수술을 받을 수 없어서다. 집에서 약물치료를 하며 3월로 미뤄진 심장수술을 기다리고 있다. 수술을 받으면 우유병도 힘있게 빨 수 있다. 숨쉬기도 편해지고 힘차게 울 수도 있다.

새벽이를 비롯해 16명의 장애아동을 돌보고 있는 이 목사는 “내 도움으로 누군가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는 기쁨을 많은 사람과 함께 나누고 싶다”고 전했다. 후원 문의는 전화(02-2613-8864)나 인터넷 홈페이지(www.m-letter.or.kr)로 하면 된다. 박수진 기자/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