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개헌특위 ‘최고위 산하-정책위 운영’ 절충안 우여곡절 끝 구성
한나라당은 21일 지도부간 논란을 빚어온 개헌 특별기구 구성과 관련, 최고위 산하에 두되 운영은 정책위에서 하기로 하는 ‘절충안’으로 결론을 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아 앞으로 개헌특위에 험로가 예상된다.

안형환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가 끝난 뒤 브리핑을 통해 “오늘 최고위 비공개 회의에서 개헌 논의를 하기 위한 특별기구를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안 대변인은 이처럼 개헌 특별기구 구성을 절충하기로 한 데 대해 “일부 최고위원이 반대의견을 말했다”면서 “전체 의견을 모은 결과, 이 같은 절충안으로 특별기구를 구성하기로 결론이 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절충안을 마련한 배경은 정책위 산하에 두자는 의견이 많이 있었는데 정책위 산하에 두면 격이 떨어져 야당과 협상하는데 문제가 있어 소속은 최고위 산하에 두고 기본적인 연구와 뒷받침은 정책위 산하에서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안상수 대표는 정두언, 서병수 최고위원 등 최고위 산하 개헌특별기구 설치에 반대하는 최고위원들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 소속은 최고위로 하되 연구 지원은 당 정책위에서 하는 일종의 절충안을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정두언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 여당의 개헌 논의에 대해 민심은 분명히 부정적”이라며 “한나라당 지도부가 민심과 달리 가면 ‘딴나라당’ 소리를 들으면서 민심으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개헌 특위 설치를 둘러싼 여진은 당분간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앞으로 개헌이나 주요 당무현안, 국가 중대사 문제는 지도부 내 소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조율해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는 개헌 등 주요 국가적 현안에 대해 당 지도부를 구성하고 있는 최고위원들의 총의를 모으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보다 특정 정파의 일방적 추진 속에 이뤄지고 있다는 우회적 비판으로 해석된다.

한편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날 “이번 임시국회에서 개헌특위를 구성해 허심탄회하게 (개헌) 논의를 시작해보자”고 제안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이같이 말한 뒤 “끝내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개헌 추진 일정을 입법화하는 개헌준비법이라도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관련법 제정을 제의했다.

김 원내대표는 “만약 정략적 의도로 개헌이 추진된다면 저 자신부터 온몸으로 막을 것”이라면서 “한나라당은 어떤 예단도, 결론도 갖고 있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경원 기자 @wishamerry>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