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직 걸음마 지상로봇, 日 대지진 계기 속도내기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구조 및 탐지, 군사용 지상로봇의 조기 상용화가 절실해지고 있다. ‘로봇 강국’을 자처하던 일본도 막상 두껑을 열고 보니 구조 등 실전에 투입할 로봇조차 없는 상태로 밝혀져 더욱 그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국내 로봇 관련업체들이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지상로봇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상로봇은 공중로봇, 해상 및 해저로봇에 비해 개발비, 개발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상용화가 쉬워 일단 각 업체들이 가장 활발히 투자하는 분야다. 무인항공기 등 항공로봇에 비해 우리의 경우 선진국의 기술력에 근접, 세계시장을 노크해 볼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방위로봇 분야에서는 성과가 속속 도출되는 중이다.

정부도 지난 1월 말 교육과학기술부, 국방부, 보건복지부 등 7개 관계부처 합동 ‘범부처 로봇시범사업 마스터플랜’을 내놓고 올해 300억원 등 2013년까지 시범사업에만 총 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6개의 유압식 액츄에이터를 다리관절에 장착해 자율주행과 원격조종이 가능한 ‘다족형 견마로봇(일명 진풍이)’을 개발 중이다. 260억원이 투입돼 내년 개발이 완료될 이 로봇은 차량진입이 불가능한 산악이나 재해지역에서 정찰, 탐지, 경계,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퍼스텍은 위험물처리, 정찰 등을 수행하는 다목적 로봇 ‘스코봇’을 지난 2009년 개발한 이래 지난해 2차례 실전투입 등 기능 개량작업에 나서고 있다. 이 로봇은 1인 휴대가 가능할 정도로 무게가 가볍고 등판능력, 전복시 복원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퍼스텍 관계자는 “최근 본격적인 수주영업에 나서고 있으며, 현재 매니퓰레이터 기능을 보완하고 있다”며 “개발과정에서 습득한 기술을 바탕으로 타사 감시경계로봇 사업에도 참여 중”이라고 말했다.

유진로봇과 한화 및 국방과학연구소(ADD)는 지난 2004년 개발된 ‘롭해즈’ 후속모델로 정찰 및 전투로봇을 개발 중이다. 이 로봇은 재난현장의 인명탐색, 순찰, 위험물 제거 뿐 아니라 전투까지 가능한 용도다. 배터리 사용시간이 최대 12시간으로 늘고, 100m 전방까지 주야간 식별이 가능해지는 등 선진국 수준으로 기능도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테크윈은 지능형 감시경계로봇을 개발, 지난 2008년과 2009년 실전 실험을 실시했으며, 지속 업그레이드에 나서고 있다. 주야 감시 및 추적 카메라, 살상무기 등이 탑재돼 경계지역 내 침입자를 추적ㆍ확인하고 제압하는 기능을 한다. 지난해 알제리에 550억원 규모로 수출했으며 지능화 및 무인화기술을 토대로 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로봇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도담시스템즈도 유사한 기능의 경계로봇을 개발, 지난해 중동지역에서 사업을 수주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이다. 이밖에 현대로템은 정찰 및 위험물 처리로봇을, 한울로보틱스는 차량적재용 다목적로봇을 각각 개발 중이며 연내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로봇기술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양적, 질적으로 미흡한 게 사실이다. 일부제품 수입이나 자체개발로 도입왰으며, 기술력이나 운용성에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화재진압, 위험물탐지, 감시경계, 구조 등 지상로봇 개발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위사업당 R&D 지원액을 지금(1억∼2억원)의 10배 이상 늘리는 정부의 결단이 요구된다. 또 로봇업체는 지속적인 기술축적과 함께 IT, BT, 나노 등 연관업체와 융복합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로봇연구조합 관계자는 “국내 지상로봇은 기술력이나 운용성에서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뒤져 있다”면서도 “주요부품 생산과 SW기술에 강점이 있어 산학연관이 지혜와 힘을 모으면 보다 빠르게 세계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