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칼럼>재계가 원하는 건 압박대상 아닌 파트너 ....
김영상 산업부 재계팀장
 
“비즈니스 프렌들리(친기업적) 정부를 만들겠다. (대통령인) 저에게 직접 연락해도 좋다.”

“기업이 커야 나라가 큰다. 지원 대책에 아낌없는 노력을 하겠다.”

“협력사와 상생하라고 대기업한테 무조건 돈을 내라고 할 수 있나. 상생은 자율적인 것이다.”

‘경제 대통령’을 표방했던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초 한 말들이다. 하지만 그때의 비즈니스 프렌들리 멘트들을 지금도 감동으로 보는 기업인들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이 대통령이 ‘경제’에서 ‘친서민’, 그리고 최근에는 ‘공정 대통령’으로 변신을 시도하면서 친기업 분위기는 급속히 식었다는 게 재계의 판단이다. ‘기업 친화’는 커녕 ‘기업 배척’의 분위기가 감지되면서 재계에 대한 정부의 압박 강도는 갈수록 세지고 있다는 우려감도 나온다.

동반성장에 대한 고강도 요구,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강력 규제, 기름값 인하와 같은 무언의 물가관리 압박 등 일련의 흐름을 보면 정부가 대기업 옥죄기에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는 시각마저 제시된다. 특히 최근 중복규제라는 이유로 재계의 반발이 심했던 준법지원인제도마저 통과됨으로써 기업의 짐은 한층 커졌다는 볼멘소리도 나오는 실정이다. 청와대는 향후 시행령을 통해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하고 있지만 100% 믿을 수 없다는 게 재계의 중론이다.

재계 일각에선 정부의 기업 압박이 짧게는 4ㆍ27 재보궐 선거, 길게는 내년 총선과 대선을 염두에 둔 포석이 짙다고 보고 있다. 선거판 표(票)만을 의식하다보니 ‘대기업 때리기’에 몰두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질병인 임기말 포퓰리즘이 본격화됐다는 직선적인 분석도 뒤따른다.

대기업 한 임원은 “대기업을 옥죄고 공정, 공정하면 민심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정치 생리 아니겠는가”라며 “기업들이 낮은 포복과 함께 눈치보기에 돌입했다”고 말했다.

설득력은 있어 보인다. 삼성 계열사를 비롯한 일부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 강화 흐름이 심상치 않고, 상법 개정안 통과 강행에선 기업 투명성을 강조하면서도 상시적, 법적으로 ‘핸들링’하겠다는 행간이 엿보인다.

문제는 크다. 경영환경이 갈수록 불투명해지는 상황에서 기업 입지는 더욱 좁아질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렇잖아도 중동 사태, 일본 대지진에 따른 세계시황 불안으로 성장모멘텀 확보에 고민하고 있는 기업으로선 더욱 죽을 맛이다.

최근 재계(600대 기업)는 올해 사상최대 규모인 115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삼성과 현대차그룹 등은 공정거래위와 동반성장 협약을 맺으며 협력사와의 진화된 상생 방안을 내놓았고, 다른 그룹들도 줄줄이 동참할 예정이다.

투자와 소통, 상생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최대한 화답하고 있다고 재계는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너’로만 몰고 있는 전방위 압박 정책에 섭섭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기업이 움츠리면 경제도 시들해진다. 잘못하는 기업이 있다면 벌을 줘야 하지만, 잘하는 기업은 키워주고 세계시장에서 날 수 있도록 날개를 달아줘야 한다. 이게 경제를 위하고, 국민을 위하는 일이다.

재계가 바라는 것은 거창한 지원도, 눈에 띄는 배려도 아니다. 때가 되면 압박하는 대상이 아닌,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파트너일 뿐이다.

<김영상 기자 @yscafezz>
ys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