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남북접촉 폭로와 관련, 미국 국무부가 “북한의 주장은 남북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남북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 우리 정부와의 끈끈한 협조체계를 과시했다. 반면 지난달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을 가졌던 중국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은 1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이번 주장이 그동안 북한이 해왔던 주장과 별로 다를 게 없다”면서 “북한의 발언이 한반도 긴장 고조를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평가 절하했다.
또 “북미관계가 진전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 개선과 북한의 행동 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게 우리의 일관된 입장이며, 여기에는 천안함 침몰과 같은 도발적인 행동의 중단도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폭로한 남북정상회담 제의 의혹에 대해서는 “이는 언론보도에 근거한 것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서 “(미국은) 한국과의 거래에 있어 완전히 투명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의미있는 조치를 취하는 게 필수적인 첫 단계라는 점에서 (미국과 한국은) 같은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그는 이번 폭로가 향후 대북 식량지원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인하면서 “중요한 것은 북한 주민들이 식량을 공정하게 나눠 받을 수 있는 투명한 분배 장치”라고 말했다.
북한의 폭로가 외신을 뜨겁게 달구는 가운데 미국 민간단체 사마리탄스 퍼스가 비료 500톤을 전달하기로 하는 등 미국과 유럽에서 민간차원의 식량지원은 끊이지 않고 있다.
반면 중국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남북 및 북미 관계 변화를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 이같은 중국의 침묵이 북한의 돌발 행동에 대한 당혹감의 표현인지, 북한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를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어떤 경우라도 북한의 체제 안정을 지지하는 중국이 남북관계를 뛰어넘어 6자회담으로 가려는 북한의 시도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반면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김정일 방중시 중국은 남북대화를 권하는 원칙적인 얘기에 그쳤을 것”이라면서 북중간 사전 협의 가능성을 부인했다.
<김윤희 기자 @outofmap>
wor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