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후 9시 30분. 헤럴드경제 취재진의 전화를 받은 서대문구 E약국 약사는 약을 사러 가겠다는 주문에 단호하게 말했다. 대한약사회가 운영하는 ‘당번약국’(http://www.pharm114.or.kr/) 사이트에 이곳은 오후 10시까지 영업한다고 적혀있었다. 약사는 “휴일이라 오늘 피곤하다”며 “9시 40분에 문 닫고 일찍 들어갈 생각이다”며 다른 약국으로 갈 곳을 주문했다.
대한약사회가 ‘심야 당번 약국제 확대’등을 내걸며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던 ‘일반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를 막았다. 그러나 정작 대한약사회에서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내 16개 구 당번약국 59개 중 25%가 넘는 15곳이 신고한대로 영업을 하지 않아 밤중에 약을 찾는 사람들의 애를 태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자정을 넘어 약을 구할 수 있는 심야응급약국이 아예 없거나, 있어도 자정 전에 문을 닫는 구가 8곳(50%)이나 됐다. 헤럴드경제 취재팀이 6일 저녁 취재한 심야응급ㆍ당번약국 조사 결과다.
이에 따르면 용산구에는 당번약국ㆍ심야응급약국 자체가 없어서 밤 9시 30분 이후 약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했다. 구로구에도 당번 약국이 없었으며 심야응급약국으로 신고한 한 곳도 자정에 문을 닫으면서 자정이 넘은 시간에는 약을 구할 방도가 없었다. 이외에도 마포, 중랑, 강서구등 총 8개 구에 심야응급약국이 없어 자정 이후 약을 구할 수 없었다.
당번약국으로 신고한 약국들 역시 처음부터 문을 열지 않거나 신고한 시간보다 일찍 닫았다. 은평구의 Y약국등 8곳의 약국은 아예 문을 열지 않았으며 7곳의 약국은 예정시간보다 일찍 문을 닫겠다고 말했다.
심야응급약국의 경우에는 12곳의 약국 모두가 문을 열고 있었다. 그러나 구로구의 W약국의 경우 “내일 준비도 해야한다”며 자정까지만 영업했으며 중구의 M약국의 경우 새벽 4시까지로 돼 있지만 새벽 3시까지만 문을 열었다. 이유를 묻는 말에 약사는 “심야응급약국은 법으로 정해진게 아니라 약국 자율이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당번약국 이행 여부를 법으로 규제하는 건 아니지만 약사회가 윤리기준으로 제재할 수는 있다”며 “다만 한두 번 문을 닫았다고 해서 무조건 제재할 수는 없고, 여러 차례 누적된 경우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라고 해명했다.
마포구 연희동에 사는 이모(30ㆍ회사원)씨는 “밤중에 아기가 갑자기 열이 나거나 남편이 감기에 걸려도 약을 구할 방법이 없다”며 “어차피 약국가도 복약지도라곤 ‘하루 세번 두알씩 드세요’ 뿐인데 슈퍼에서 약을 팔면 안된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기동취재팀 @madpen100> madpe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