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가 폭락에 금값은 폭등
금시세가 하루 두번 씩 인상되는 가 하면 그 변동폭도 역대 최고인 6500원을 기록하며 금값 폭등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주가 폭락과 대비되는 장면이다.

8일 금지금업체인 ㈜한국금거래소는 이날 오전 국내 소매 금값을 소비자가 살 때를 기준으로 3.75g(1돈)당 가격을 전날에 비해 4천400원 오른 22만9천900원(부가가치세 10% 별도)으로 정했다. 이어 뉴욕상품거래소의 금 거래 가격이 크게 오르자 이날 오후에 소매가를 2천100원 오른 23만2천원으로 다시 조정했다. 이로써 사상 처음으로 국내 금시세를 하루에 두 차례나 상향 조정하는 일이 벌어졌다. 급등한 국제 금값을 반영한 결과다. 이는 그간 한국금거래소가 금 소매 시세를 하루에 한 차례씩만 책정해 온 것에 비해 이례적인 일이다. 금 시세의 변동 폭도 6천500원으로 작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 때 하루에 5천500원 올랐던 것보다 크다.

그 동안 국내에는 금 가격을 일괄적으로 정하는 기구가 없어 금지금업체가 국제 시세나 국내 상황 등을 감안해 자율적으로 가격을 정해왔다. 한국금거래소 관계자는 뉴욕상품거래소의 8일 오전 1시 27분 기준(현지시간) 금 가격이 전 거래일보다 55.90달러(3.38%)가 오른 트로이 온스당 1706.10 달러를 기록함에 따라, 이에 맞춰 국내 시세를 반복해 조정하는 것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소비자가 가진 금을 팔 때 가격은 3.75g당 20만8천원(순도 99.9% 골드바기준)로 살 때와 마찬가지로 역대 최고치였다.

한편, 이 같은 모습과 대조적으로 주가는 폭락했다.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되면서 그 여파가 전세계로 미쳐 한국에서도 ‘블랙 먼데이’의 공포가 현실화 됐다. 코스피가 급락하면서 8일 오후 1시 23분께 올해 첫 사이드카가 발효됐다. 사이드카는 코스피 선물거래 종목 가운데 전날 거래량이 가장 많은 종목의 가격이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해 1분간 지속하면 발동되며 5분간 선물거래는 중단된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오늘 오후 1시 10분께 2년 10개월 만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서킷브레이크는 지수 하락 폭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락한 상태로 1분 이상 지속할 경우 발동되며 20분 동안 주식 거래가 중지된다. 닷새간 코스피는 302.86포인트 빠졌고 시가총액은 170조4천906억원 줄었다. 코스피는 장중 한때 1,800.00까지 폭락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32.86포인트(6.63%) 떨어진 462.69를 나타냈다. 장중 한때 반등에 성공했으나 오후 들어 급락했다. 아시아 증시도 동반 급락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3.79% 떨어졌고 대만 가권지수는 3.82%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2.18% 하락 마감했다.

한국 외환시장에서는 코스피 급락에 따라 환율이 급등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이 15.10원 오른 1,082.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오전만 코스피가 비교적 차분하게 반응하면서 상승 폭이 제한됐지만, 오후 들어 외국인과 개인 투매로 코스피가 크게 떨어지자 이에 원.달러 환율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헤럴드 생생뉴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