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래도 한국은 펀더멘털 튼튼해졌다
외환시장 안정·수출다변화

단기외채 비중도 줄어

수출의존 경제구조는 문제


3년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었던 ‘리먼사태’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3년 전 위기의 주범이었던 부동산대출과 개인부채는 옷만 바꿔 입고 정부 부채로 옮겨갔을 뿐, 결국 ‘과도한 부채’라는 문제의 본질은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3년 전과 비교할 때 위기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는 확실히 달라졌다는 평가다. 눈에 띄게 외환시장이 안정을 유지하고 있고, 외환보유액ㆍ수출지역 다변화 등은 안정적인 구조로 재편됐기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교할 때 경제규모가 늘면서 총외채 규모는 늘었다. 하지만 채무건전성의 중요 기준인 총외채 중 단기채무의 비중은 낮아졌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단기외채 비중은 ▷2008년 2분기 48% ▷2008년 3분기 51%를 넘었지만 최근에는 36∼3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실물경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무역수지도 아직까지 선전을 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는 매달 20억~40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이뤄왔지만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7월 72억달러에서 8월 8억달러로 급감,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가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대해 지식경제부는 “8월 우리 수출의 증가세(24.3%)가 여전한 가운데, 수입이 급증(26.7%)한 것으로 조사돼 아직 글로벌 재정위기의 영향 때문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수출과 수입에서 미국과 EU 등 주요 선진국들의 비중도 낮아졌다. 2008년 한 해 동안 미국과 EU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1%, 13.8%에 달했지만 최근에는 각각 9~10%, 10% 전후로 축소됐다. 대신 그 자리는 중국과 중남미 등 신흥 성장엔진으로 메워졌다.

외환보유액도 증가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1년 7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121억9000만달러. 2008년 말 2012억달러보다 50% 이상 증가한 셈이다.

반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의 비중이 높다는 점과 우리 경제가 지나치게 수출 위주로 짜여져 있다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한국 시장의 외국인 비중은 31%로, 아시아 국가 중 대만(32%)과 더불어 최고 수준이다. 그 외 싱가포르(23.7%), 태국(20.7%) 등이 20%대였다. 또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무역의존도가 87.9%에 달해 우리나라는 벨기에(214.0%), 네덜란드(143.2%), 아일랜드(109.0%), 룩셈부르크(98.0%) 등에 이어 일곱 번째로 높다.

박지웅 기자/goa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