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커버스토리> 콘텐츠 명동 20선
▶명소

▷명동성당=우리나라 최초의 벽돌조적 교회당으로 사적 제258호. 조선시대 이조판서를 지낸 윤정현 저택을 천주교인들이 매입해 1894년 시공. 1896년 완공됨. 사적 제 258호.

▷한전사옥=독립된 기둥을 근간으로 하는 본격적 근대식 사무용 빌딩으로 1828년 준공됨. 근대적 건축양식뿐만 아니라 전기회사 건물인 관계로 우리나라 최초의 엘리베이터가 2대 도입됐음. 서울시 등록 문화재 1호.

▷명동예술극장=1936년 준공된 바로크 양식의 건물. 일제 강점기에는 연극상연용 극장으로, 1955년에는 국립극장으로 개칭. 1971년 국립극장이 장충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사용된 국내 유일이자 최초의 국립극장. 복원 사업을 통해 2009년 재개관.
[사진제공=서울역사박물관]

▷가톨릭회관=성모병원이 이사하면서 새로 건축해 들어선 건물. 1986년 10월에 완공된 이 건물은 우리나라 초기의 ‘커튼월’ 방식을 사용한 건축물.

▷유네스코회관=1966년 준공. 저층부를 제외한 외벽 전면에 사용된 2중 유리로 된 알루미늄 커튼월이 도입된 건물. 명동거리의 얼굴이다.

▷오양빌딩=1962년 준공.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건물로 전면이 도자기로 장식되고 노출 콘크리트 벽의 외관이 특징적인 건물. 60년대 근대 건축물의 전형적 특성을 볼 수 있다.

▷YMCA=1966년 준공된 건물. 60년대 근대 건축물의 특성인 조작물이 잘 보존됨. 조선 YMCA는 광복운동과 함께 명동에 회관을 마련하고 재건이사회를 열어 대한YMCA로 출범했다.

▷메트로호텔=1960년 준공. 최초의 민영호텔로 대지에 콤팩트하게 들어서 중앙에 중점을 두고 입구부를 강조하는 등 고급 상업 건축의 면모를 볼 수 있다.


▶맛집

▷미성옥=50년 전통의 설렁탕집. 70년대 당시 명동의 상인, 은행원 등 야근을 하는 사람들에게 인기 만점이던 설렁탕이 지금은 관광객들의 입을 사로잡고 있다.

▷영양센타=중국대사관 옆 화교거리의 영양센타. 1960년 7월 4일 개업한 이곳은 보신탕집이 아닌 최초의 전기구이 통닭전문점이다. 지금도 60년대의 노하우가 담긴 통닭구이는 물론, 삼계탕으로 손님들의 영양을 책임지고 있다.

▷카페 ‘가무’=지금은 커피전문점들이 점령한 명동 커피의 터줏대감. 프랑스 소설가인 알베르트 카뮈의 이름을 가져와 1968년부터 영업을 하고 있다. 옛날 방식 그대로인 ‘드립’커피가 유명하다.

▷명동교자=올해로 문을 연 지 46년이 된 명동의 터줏대감. 칼국수와 만두가 유명하다. 1960년대 중반 ‘장수장’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열고 1966년 ‘명동칼국수’라는 이름으로 상호명을 바꿨다. 이후 유사 간판을 내건 칼국수 집이 늘어나면서 1978년 ‘명동 교자’로 간판을 새로 달게 됐다.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할머니 국수=1958년 명동의 허름한 국수집으로 시작한 ‘명동할머니국수’는 고향을 떠올리는 특유의 맛으로 현재까지도 직장인, 학생, 주부 등 다양한 고객층에게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

▷고궁=명동에서 전통 전주비빔밥을 맛볼 수 있는 곳. 1971년 문을 연 전주 한국관을 모체로 1999년 명동에 자리를 잡았다. 특유의 고추장과 함께 즐기는 비빔밥은 손님들의 주문이 끊이지 않는다.

▷신정=40여년 이상 운영한 징기스칸 요리 전문점. 주인이 직접 목장을 경영하면서 고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신선한 육질을 자랑하는 게 특징이다. 과거 명동이 금융 중심가였던 만큼 금융인들이 여전히 많이 찾는다.

▷명동돈가스=1983년 문을 열었다. 호텔 돈가스보다 훨씬 맛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20년이 넘게 유명 인사부터 10대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바삭바삭한 튀김 옷에 두꺼운 육질이 인기 비결.


▶추가 명소

▷미성양복점=패션의 거리 명동이 50, 60년대는 골목마다 고급 양복점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자리를 지켜온 전통 있는 양복점. 3대가 대를 이어 전통 수제 양복의 명맥을 지키고 있다.

▷조성기 헤어젯=명동의 또 다른 키워드 ‘미용’을 대표하는 곳. 1976년 미용일을 시작한 조성기 씨는 수많은 미용대회 입상으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지금은 헤어뿐만 아니라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네일 케어도 하고 있다.

▷부루의 뜨락=1978년 문을 연 음반가게. 영화 접속에서 전도연과 한석규가 스쳐지나간 곳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건물 4층 전체를 음반가게로 사용하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일본 관광객뿐아니라 중고 LP 마니아들에게도 인기다.

▷대한음악사=40여년째 명동을 지키고 있는 클래식 악보 전문 서점. 다섯평 남짓한 매장 벽에 악보가 빼곡이 쌓여 있다. 독일, 오스트리아 등 외국 악보는 물론 재즈, 팝 등 다양한 장르의 악보를 갖추고 있다. 이곳에 없는 악보는 국내에서 구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상범 기자>
/tig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