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시, 안심연료단지 인근 폐질환 환자 무더기 확인...무대책
[헤럴드경제=김상일(대구) 기자]조성된 지 40년 된 대구시 동구 안심연료단지 인근에서 폐질환 환자가 무더기로 확인된 것과 관련해 대구시가 무대책과 함께 책임 떠 넘기에 급급하고 있어 주민들과 대구지역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시가 지난달 25일 대구시 동구 안심 주민들 중 폐질환 의심 진단자 35명을 대상으로 정밀검진을 가진 결과로 진폐증 2명 등의 폐질환 추정 진단자 18명이 최종 확인됐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안심연료단지는 그동안 대구지역의 에너지 수급을 위해서 수십 년 동안 운영돼 왔으나, 이제는 그 필요성이 사라진 것 같다”며, “현재 연탄공장 3개 업체와 양회(시멘트ㆍ콘크리트ㆍ아스콘)공장 3개 업체가 아직도 그곳에서 공장운영을 계속해 인근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빠른 시간 내에 이들 업체를 다른 곳으로 이전 시키는 것과 이곳 주민들을 대상으로 환경부의 ‘건강영향조사’를 받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구지역 환경단체는 시가 직접 나서서 역학조사를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대구경북녹색연합은 지난 29일 성명서을 통해 “시가 직접 안심연료단지 주변 주민피해실태조사와 함께 정밀역학조사를 실시해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앞장서 줄 것”을 요구했다.

녹색연합은 “1970년대 조성된 안심연료산업단지에 들어선 연탄공장과 시멘트공장에서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해왔지만, 시는 그동안 별다른 대책 없이 방치만 해왔다”며 “지난해 시가 대책반을 구성했지만 이전지가 없다는 엉터리 용역 발표와 연탄제조업체의 자진폐업을 요구한 것 밖에는 한 것이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번 건강검진도 해당 주민들을 대상으로 동네병원의 협조로 시작돼 시가 특별한 역할을 한 것도 아니다“며 ”올해 초 실시한 흉부 X-선 촬영비도 해당 동에 부담시키려 했다“고 비난했다.

또 ”이번 CT검사도 체계적 준비와 장기적 계획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조사결과를 통해 연료단지 내 업체들을 압박하기 위한 주먹구구식 행정“이라며 말했다.

녹색연합은 ”지금까지 시가 보여준 주먹구구식 대응을 봤을 때 환경부가 역학조사에 나서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환경부에 떠넘기지 말고 시가 직접 정밀역학조사를 실시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한편 안심연료단지는 1971년 10월께 대구시 동구 율하동 일원 9만8485㎡(2만9844평)으로 조성돼 현재 연탄공장 3개 업체, 양회공장 2개 업체, 아스콘 공장 1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다. 이곳 연료단지 인근 거주인구는 8만여 명으로 연탄공장 3개 업체가 연간 11만7000t의 연탄을 생산하고 있다.

smile56789@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